쌀 생산농가, 농기계비 부담 상승에 한숨
쌀 생산농가, 농기계비 부담 상승에 한숨
  • 박현욱 기자
  • 승인 2013.12.06 08: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기계은행 등 농기계 지원사업 강화 필요

벼를 생산하는 농가의 경영비 절감에 농기계가 큰 걸림돌이 되고 있어 농기계 지원 사업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농협경제연구소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여년간 벼를 생산하기 위해 간접 투입된 토지용역비, 자본용역비 등 간접 생산비중은 줄어든 반면 농기계비, 농자재비 같은 직접생산비중은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생산비 중 간접생산비 비중은 1990년 54.4%에서 2011년 40.7% 줄었고 같은 기간 직접생산비 비중은 45.6%에서 59.3% 상승한 것.

특히 직접 생산비 중 농기계비 비중이 1990년 11.1%에서 2011년 27.0%로 15.9%p나 증가해 농가의 생산비 절감을 통한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농기계 비용 절감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농협에서는 이를 위해 올해 3월 농기계은행사업에 1000억원을 추가 투입해 농작업 대행면적을 지난해 68만ha보다 23.5% 늘어난 84만ha로 확대키로 하고 임대용 농기계 2000대를 더 마련한다는 계획을 발표해 시행하고 있지만 현장 농민들은 와닿지 않는다는 반응이다.

전남의 한 농가는 “농협에서 농기계은행사업을 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지만 농기계 가격이 워낙 비싸 정부 지원이 더 필요하다”며 “특히 농기계를 한번 수리할 때 드는 비용이 100만원을 호가하는 등 수리비용도 만만치 않다”고 말했다.

그는 또 “농협에서는 시행하는 농기계은행사업의 경우 특정 업체 1곳 제품만 비치돼 있어 다른 업체 농기계에 익숙한 농민들은 사용하기가 힘들다”며 “다양한 종류의 농기계가 비치될 수 있도록 지원폭을 더 늘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에 콤바인을 구입했다는 충북의 한 농가도 “농지 1억을 담보로 잡고 5년 융자로 6840만원의 콤바인을 샀다”며 “나 같은 대농이야 생산비를 겨우 맞추는 수준이지만 주위의 소규모 농가들은 농기계 사는 것은 꿈도 못꾼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들 농가들을 위해 정부에서 나서서 무상으로 농기계를 수리해 주는 사업을 확대하고 임대 사업 지원도 더 늘려야 할 필요성이 있다”며 “쌀 값은 오르지 않고 생산비만 늘어나고 있어 하루빨리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이 정부차원에서 검토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농기계 뿐만 아니라 농약, 비료 등과 같은 농자재 가격 상승으로 폐업하는 농가가 증가하는 만큼 이를 위한 정부의 다각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