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값 폭등의 진실]폭등 이윤 중간상인 몫 아니다
[배추값 폭등의 진실]폭등 이윤 중간상인 몫 아니다
  • 김지연 기자
  • 승인 2016.09.22 13: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도 진실 아니라며 산지유통인들 ‘발끈’

이상기후와 작황부진, 공급량 부족이 원인

농식품부·농협에 장기적 수급대책 마련 촉구

배추 값이 폭등하면 중간 상인을 폭리의 주범으로 몰고 가는 언론들의 행태에 대해 산지유통인들이 진실이 아니라며 진실 해명에 나섰다.

연합뉴스는 지난 11일자 ‘농민들이 1000원에 판 배추 한포기, 소비자는 1만원에 사먹는다’ 기사를 통해 배추 값 폭등 이윤은 중간상인 몫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한국농업유통법인중앙연합회(회장 백현길)는 다음날인 12일 보도자료를 통해 연합뉴스 기사에는 배추 값이 폭등됐다는 내용 자체만 있을 뿐 정확한 분석 과정은 생략한 채 산지와 비교해서 8~13배나 비싸다고 보도했다며 이번 연합뉴스의 언론보도가 산지에서 묵묵히 역할과 책임을 다하고 있는 산지유통인들의 명예를 실추시킨 건 아닌지 묻고 싶다고 밝혔다.

이어 올해 여름 고랭지 배추가격의 급등 요인은 재배면적 감소와 폭염 그리고 가뭄으로 인한 작황부진 및 추석수요가 겹쳐진 그야말로 공급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해서 나타난 현상이라고 못박았다. 산지유통인들의 이윤이 아니라는 소리다.

또한 배추의 생육과정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재배농민이 육묘장에서 20~25일간 자란 육묘를 밭에 정식하고 정식이 끝난 후에 산지유통인들이 재배농민으로부터 밭떼기로 거래를 한다.

거래가 성사된 후에 농가는 손을 떼고 산지유통인이 약 45~60일간 농약, 비료, 거름을 주고 배추를 직접 키워 수확, 포장, 운송 등을 통해 시장에 출하하는 기능을 한다.

올해처럼 가뭄이 들면 냇가에서 동력펌프를 이용해 해발 700미터 이상까지 물을 퍼 올리기도 하고 여의치가 않으면 급수차까지도 동원해서 배추에 물을 주기 위해 온갖 노력을 하고 있다.

이어 연합뉴스에 산지에서 1000원 하는 배추를 소비자들은 10배나 비싼 값에 사먹는다는 내용에 대해서도 산지에서 1000원이라고 하는 배추는 농가가 다 키우지 않은 상태에서의 정식한 배추를 산지유통인으로부터 매매대금 성격으로 받는 가격이라고 해명했다.

또한 농가가 받는 이 가격은 생산비 수준으로 안정된 수익을 보장받고 있지만 산지유통인은 수확기까지 배추 가격이 오를지 내릴지 모르는 상황에서 위험부담을 안고 6개월에서 1년 전부터 농가와 계약하고 정식한 후 45~60일 동안 추가 생산비용을 들여 재배하고 수확기에는 선별 포장 작업을 거쳐 적정가격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전국의 도매시장에 골고루 분산 출하하고 있다고 전했다.

더불어 고랭지 배추의 원가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관측센터에 따르면 올해 9월 고랭지 배추 포전거래 금액은 3.3㎡(평)당 1만5000~1만8000원에 거래됐다고 발표한 바 있다. 포전거래 할 당시 배추가 25~30일 가량 성장한 모종 상태에서 포기당 1800원인 셈이다. 여기에 산지유통인이 농약, 비료, 거름, 임차료, 영양제, 급수 등 추가 관리비용에 포기당 900원, 수확․운송 등에 500원, 도매시장 상장수수료 420원(상품기준 포기당 6000원 기준) 등이 붙는다. 그러나 올해 고랭지 배추는 아시다시피 이상기후로 인해 포전거래 당시 예상치보다 생산량이 23~45%까지 줄어들면서 포전거래 당시 배추 가격보다 포기당 1.5배는 더 들어서 포기당 최소 4000원 정도의 원가가 들었다고 볼 수 있다.

연합회 이광형 사무총장은 “산지유통인을 배추 생산자로 보지 않고 한낱 장사꾼으로 보고 있다는데 문제가 있다고 본다”며 “배추 생산 원가가 얼마인지 정확한 분석도 없이 폭등 이윤은 모두 누가 챙기더라는 식의 기사는 앞으로 지양돼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산지유통인들은 연합회를 중심으로 가격 안정을 위한 정가수의거래 확대와 더불어 국민의 먹거리를 책임지고 있다는 자긍심을 갖고 고품질 안전농산물의 생산과 유통체계의 개선을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아울러 이번 배추가격 급등을 교훈삼아 정부와 농협도 행하지 못하는 무, 배추 유통을 산지유통인들이 대행하고 있다는 순기능을 인지해 정책의 파트너로서 장기적인 수급대책 마련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