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고기 산업에 대한 미래, 정부도 제시해야
닭고기 산업에 대한 미래, 정부도 제시해야
  • 김재광 기자
  • 승인 2016.11.24 16: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육계산업 동반자는 기업과 농가 그리고 정부

-삼위일체를 통한 더 큰 한걸음이 필요하다

지난 11월 2일 충북 청주 올림픽 국민생활관에서는 전국 1500여명의 육계농가와 계열회사가 참여한 가운데 ‘2016년 전국 육계인 상생 전진대회’가 성대히 치러졌다.

이 날 주인공들인 육계사육농가들과 계열회사 임직원들은 비전선포식을 통해 상생을 통한 동반성장을 도모키로 결의하고 화합, 변화, 혁신을 통해 안정적인 닭고기 산업 발전을 이루자고 선언했다.

이번 상생대회는 육계산업의 더 큰 걸음을 향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한 자리로 두 주체의 합심으로 육계산업의 비상을 기대하게 했다. 사실 이 가운데 같이 어깨동무를 해야 할 한 주체가 더 있다. 바로 농림축산식품부다.

한국육계협회 정병학 회장은 대회사를 통해 농식품부의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해 줄 것을 다시 한 번 강력히 주문했다. 농가와 계열사가 상생과 화합, 변화와 혁신 나아가 더 좋은 단어로 의기투합하더라도 정부의 정책적 뒷받침 없이는 산업이 탄력을 받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닭고기산업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더 큰 한 걸음을 다짐하는 자리에서 돌아오는 대답은 “계열주체와 사육농가가 경쟁과 협력을 통해 올바른 동반성장을 할 수 있도록 제3자 입장에서 공정한 질서를 유지토록 하겠다”는 한 걸음 물러난 답변이었다.

닭고기산업이 성장기에 접어들면서 70년대 초반 불황과 유류파동 등으로 큰 위기를 겪을 때 농가들은 이른 바 ‘한탕주의’, ‘야반도주’등으로 궁지에 내몰렸다. 또, 계열화사업의 도입 후 다시 찾아 온 위기였던 청정계가 도산했을 때, 제2의 청정계 사태 위험이 감지되던 때도 정부는 방관자 역할을 한다며 숱한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때마다 농가들이 정부에 강력한 후속조치를 요청하거나 안전장치 만들어 줄 것을 요구했고, 계열화 사업자들도 정부가 나서서 대책을 마련해 줄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항상 대답 없는 메아리로 허공을 맴돌 뿐이었다. 검토하겠다, 의견수렴 하겠다, 논의중이다라는 과정만 되풀이 되는 상황에서 정부정책의 능동적인, 선제적인 부분의 아쉬움은 크게 느껴진다.

닭고기 산업은 현재 높은 잠재력을 보이며 비상하고 있다. 국내 육류 인당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특히, 최근 트렌드인 혼밥, 혼술, 혼여 등으로 대변되는 나홀로족과 2인가구의 급증으로 닭고기 식문화는 나날이 발전해 부분육·반계탕 소포장 제품이 대거 출시되는 등 다른 축산물에 비해 시장동향에 빠르게 적응해 가고 있다.

2021년 한미간 FTA는 양허관세율이 완전 철폐되고 수입육 점유율은 큰 폭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사육농가와 계열사들은 각자가 해야 할 일을 목표로 정하고 이를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기업은 다양한 제품 개발과 양념육 소비시장을 확대하는 등 돌파구를 마련하고 있고 농가들은 시설개선 및 생산성 개선에 몰두하며 미래를 준비해 가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주도적인 역할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수립 및 추진이 아닌, 3인칭 관찰자 시점에서 가능한 서포팅을 공식석상에서도 공연히 말하고 있다.

정부와 농가 그리고 기업이 함께 어우러져 산업에 대한 공감을 이루고 진정성 있는 체계적 지원이 약속돼야 더 큰 걸음으로 건강한 닭고기 산업이 정착되리라 생각된다.

물론 산업발전을 위해 가려운 곳을 긁어주고 올바른 길로 접어들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기자들의 책무이자 존재 이유다. 번번히 파트너쉽이 결여된 채 뒷짐 진 농식품부의 태도를 돌리지 못하는 것은 축산전문지 기자들의 책임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와 함께 농식품부도 이번 상생대회에서 계열농가와 계열사가 함께 선언한 변화·화합·혁신의 의미를 되새기고 닭고기 산업에 대한 주체적인 안목이 필요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