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농업인력 정책관심 ‘절실’
미래농업인력 정책관심 ‘절실’
  • 김영하 대기자
  • 승인 2017.02.08 10: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기청 청년예산 3조원-농식품부 청년 귀농․귀촌예산 30억원

중소기업청이 청년에 지원하는 예산이 약 3조에 달하는 반면 청년 귀농·귀촌 예산은 30억원 정도로 1000분의 1 수준에 불과해 미래농업인력에 대비한 정부의 정책관심도가 형편없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3일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주관으로 서울 서초구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서 가진 ‘청년귀농 확대를 위한 정책간담회’에서 각계 전문가들은 이같은 문제를 제기하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특히 이날 간담회에서는 귀농정책 실무자 및 현장 전문가 20여명이 참석해 청년층 귀농 유인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방안과 대안을 제시했다.

이 자리에서 유상오 한국귀농귀촌진흥원장은 중소기업청의 청년에 지원하는 예산이 약 3조에 달하는 반면 청년 귀농·귀촌 예산은 30억원 정도로 1000분의 1 수준에 불과한 점을 지적하고 정부의 미래농업인력에 대한 정책반영이 부실함을 지적했다. 이를 위해 유 원장은 농식품부가 부처별로 청년귀농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위한 예산확대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고 제안했다.

채상헌 연암대 교수는 “일본은 청년농부들에게 7년간 1인당 연 1800만원을 주고 연소득 4000만원이 넘으면 지원을 중단하는데, 마음 놓고 안정적으로 준비하기 때문에 대부분 연소득 4000만원 이상을 달성한다”며 “젊은 층이 안심하고 귀농을 준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한 예산의 확대는 가장 핵심적인 정책대안”이라고 주장했다.

지역사회 융화를 위한 교육 등 대책마련도 다양하게 제기됐다. 정민철 젊은협업농장 대표(충남 홍성군)는 “지역사회에서 동네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과정을 겪어야만 함께하는 정서가 구축돼 지속가능한 농촌사회를 구성할 수 있다”면서 “이를 위해 짧은 교육이 아닌, 장기적인 현장교육으로 청년 귀농인들이 지역사회에 동화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박종관 정양리 이장(경북 상주시 정양리)은 “청년 귀농인 한명을 키우려면 한사람이 아니라 한 마을전체가 멘토가 돼야 한다”며 “귀농한 청년들을 지원하는 지자체의 거점 기구와 소규모 면단위 기구는 물론, 실습농장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농촌지역에 사회적 일자리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최민규 전북귀농어촌지원센터장은 “기반이 부족한 청년이 처음 농촌에 오면 자신이 직접 농사를 짓지 않는 한 일자리가 없어서 홀로 서는 것이 어렵다”며 “농촌형 사회적 일자리가 있다면 마을에서 일하던 청년들이 자연스럽게 그 지역민으로 정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