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적인 농산물 수급 관리, 산지 조직화 ‘최우선’
안정적인 농산물 수급 관리, 산지 조직화 ‘최우선’
  • 신재호 기자
  • 승인 2017.11.03 13: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확성 높인 빅데이터 통해 가공·분석...적재적소서 활용돼야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지난 10월 31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대한민국 농수산식품산업 100년을 그리다’를 주제로 농식품 유통발전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농산물의 안정적인 수급을 위해서는 정부 개입을 최소화하고 산지 조직화를 강화하는 한편 정확성을 높인 빅데이터를 가공, 분석해 적재적소에 전달하는 등 활용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여인홍)가 지난 10월 31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대한민국 농수산식품산업 100년을 그리다’를 주제로 열린 혁신 기반의 농식품 유통발전 심포지엄에서 전문 패널들은 이같은 수급관리 방안을 제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오는 12월 1일 창립 50주년을 맞아 ‘미래 농업의 출발, 수급안정’, ‘미래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와 대응과제’라는 두 가지를 핵심 주제로 정부, 학계, 유관단체, 업계 등 전문가 패널토론과 방청객 질의 형식으로 진행됐다.

이날 이동혁 한국식품유통연구원 원장은 “농산물의 원활한 수급을 위해 aT가 방향성을 잡고 있지만 전부 해결하기에는 곤란한 만큼 민간 부문에서의 많은 역할이 기대된다”며 산지 생산자 조직 육성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또 그는 “정부에서는 전체 농산물을 관장하기 보다는 민감한 품목, 자급률이 낮은 품목 등 적합한 품목을 선정해 집중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동환 농식품신유통연구원 원장도 “빅데이터 확충으로 정부가 일일이 시장에 개입하는 것을 탈피하는 대신 간접적인 지원으로 가야 한다”며 특히 “빅데이터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농협과 자조금 조직 등 생산자 조직을 확대 구성하는 등 제도화된 수급 관리 시스템을 마련하는 대신 정부의 일시적인 시장 대응은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김 원장은 빅데이터의 정확성을 높이는 한편 일자리 창출을 위해 농대생을 산지 정보원으로 파견하는 한편 청년농업인 등을 해당 지역의 농산물 수급 조사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제시했다.

최기수 농수축산신문 대표는 “빅데이터의 수집 대상을 기존농가, 모니터링 요원 등에서 저장·수입업체 등으로 폭넓게 하는 한편 국내 농산물은 파종기, 생산시기, 출하 직전기 등 단계별 데이터 수집을 통해 보다 정확한 정보를 확보하고 수입 농산물 또한 선적, 통관 등 단계별 데이터 확보를 통해 선재적인 대응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상경 농림축산식품부 유통정책과장은 “aT의 역할은 정확한 산지 정보를 담아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농산물 유통정보시스템 플랫폼의 구축에 있다”면서 특히 “산지 조직화를 이끌어 내면 수급 조절 체계에 있어 변동 폭을 완화할 수 있는 만큼 조직화가 안되는 원인을 파악하는 한편 한국농업유통법인연합회 등 이미 구축된 조직에 대해서는 이들 조직을 대상으로 한 수급 조절 프로그램을 마련할 생각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그는 도매시장 유통에 대해 언급하며 “경매의 틀을 깰 필요는 없고 경매제만 유지한다는 부분에 대해서도 깊은 고민을 가져봐야 한다”며 “정가수의매매 등 거래 방법의 변화에 대해 사회적인 요구가 늘고 있는 만큼 분명 3년 이내에 경쟁적인 거래 방법이 받아들여질 여지도 충분하다”고 전했다.

한편 여인홍 aT 사장은 인사말을 통해 “우리 농업은 개방화, 고령화, 4차 산업혁명 도래 등 중요한 도전들에 직면해 있다”고 밝히고, “향후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의 유통종합 정보시스템을 통한 수급안정화와, 농업인이 제 값을 받는 지속가능한 유통체계를 조성해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