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농촌(지방)소멸 대응, 정책의 전환부터
[사설] 농촌(지방)소멸 대응, 정책의 전환부터
  • 김영하 대기자
  • 승인 2018.01.19 10: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몇 년전부터 지방소멸이라는 용어가 대두되더니 올해엔 연초부터 인구감소와 함께 지방소멸이라는 용어를 주요 이슈로 제기하고 있다. 지방소멸이란 용어를 다시 생각해보면 그것은 다름 아닌 농촌소멸이라는 것과 다르지 않다. 몇 년전 미래학자를 중심으로 제기됐던 농촌고령화에 이은 지방소멸과 이를 지키려는 뼈를 깎는 지역의 노력들이 방영되기도 했다.

이런 현상은 유럽에선 몇 세기를 거쳐 일어났지만 일본은 20세기 중반이후 나타나더니 우리나라는 20세기 후반인 1990년대부터 급격히 나타났다. 산업혁명 이후 나타난 이농이 정도를 넘어서서 농업의 기반까지 붕괴될 수준까지 다다른 것이다.

물론 유럽 등 선진국은 이를 보다 빠르게 인식하고 인구밀도의 유지, 농업의 공익적 가치 반영에 따른 농가의 공익적 노동에 대한 보상의 지불제가 도입되고 이를 국가의 헌법에 까지 반영하는 국가들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일본도 이에 대한 대응은 늦은 셈이다. 지방소멸이 진행되고 있는 과정에 4년전 겨우 청년농업인 지원 제도가 만들어지고 실행에 옮겨지고 있는 실정이다.

지방소멸, 즉 농촌소멸을 막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농촌의 고령화를 경고하는 메시지는 그동안 많았으나 이에 대응한 정책 수립은 전무했다. 오히려 이농을 부추기고 도시집중이 과속화되는 정책만이 만연했다.

1994년 1월 관악구 봉천동에 있던 농정연구포럼(현 농정연구센터)에서는 농정의 전환이라는 테마로 현 GS&J인스티튜드 이사장인 이정환 박사의 발표가 있었다. 정영일 원장 사회로 진행된 이날 발표의 핵심은 바로 우루과이라운드협상(UR)이 마무리 단계에 있을 상황이었다.

당시 개방시대의 농정의 극복을 위해서는 당시 9%대이던 농민인구를 2~3%로 줄여야 하며, 이를 위해 대대적인 농업구조조정을 단행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그 내용이 다름아닌 지방인구 쫓아내기 정책이었던 것이다.

경쟁력이 없는 농가들을 퇴출하고 가족농에서 전업농 중심으로 정책을 전환하는 것이 정책의 축이었기 때문에 모든 정책대상은 규모화 영농자들인 전업농, 기업농이었던 것이다. 이런 정책을 지난 30년간 펼친 것이다. 농촌의 인구는 당연히 줄어들 수 밖에 없었으며, 이에 따른 농촌의 학교 감소, 경찰 등 치안의 부족, 보건소 등 복지제도의 축소, 산업시설이나 관련 시설의 도시이전 등으로 농촌(지방)은 삶의 주거환경마저 척박해져 갔다. 물론 DJ정부시절 가족농을 주창한 농정의 시대도 있었지만 IMF의 영향으로 모든 경제제도가 경쟁력제고 중심으로, 즉 규모화된 대기업과 농촌에선 대농을 중심으로 재편돼갔다.

우리가 규모화 된 전업농정책을 본격화할 무렵 EU는 공동농업정책으로 직접지불제를 도입하고 프랑스 등 몇몇 국가는 농촌의 활력을 되찾기 위해 리더스프로그램으로 대표되는 지역활력사업을 도입하고 있었다. 지역소멸을 극복하기 위한 여러 대안을 찾아 나섰던 것이다. 외국인 노동자를 활용해 억대수익을 보장받는 일부 전업농만을 키우는 정책이 아니라 식량의 안보를 지키고 농업생산이 지속되면서도 농촌이 활력을 찾을 수 있는 지역소멸 대응정책이 절실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