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청년창업농 영농정착지원사업, 어떻게 추진되나
[기획] 청년창업농 영농정착지원사업, 어떻게 추진되나
  • 김영하 대기자
  • 승인 2018.04.13 11: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준비된 청년농업인 봇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0일 청년창업농 영농정착지원사업(이하 청년농사업) 대상자를 1168명 선발했다고 발표했다. 영농의지와 발전 가능성이 만 40세 미만의 영농경력 3년차 이하 청년창업농을 대상으로 한 이 사업이 어떻게 추진하는지, 어떤 청년이 선발됐는지 그 내용을 개괄적으로 요약한다.<편집자주>

청년농의 영농유형

청년농사업 선발인원의 주 생산 품목을 보면, 채소류 26.8%, 과수류 15.8%, 축산 9.6%, 특용작물 8.1%, 식량작물 6.8%, 화훼류 3.3% 순으로 나타났으며, 축산과 경종 복합경영 10.4%, 기타 품목 복합경영 19.3%였다.

영농기반 유형을 보면, 현재 부모가 영농에 종사 중이지만 부모로부터 영농기반을 받지 않고 별도 기반을 마련한 청년이 587(50.2%)이고, 부모의 영농기반을 증여·상속 받은 청년 188(16.1%)이다. 부모의 영농기반이 없고, 본인이 신규로 영농기반을 마련한(예정 포함) 청년은 393(33.6%)이었다.

선발자의 면면

이번 청년농사업 선발자의 성향을 살펴보면, 흥미로운 창농 동기를 가진 신청자들도 있었으며, 창업예정자 대부분이 사전에 많은 준비를 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 모임에서 만난 남녀 4명이 법인 공동창업 협약서를 작성하고, 해외농장 견학 등 사전준비를 거쳐 강원 평창에서 고추냉이 생산·가공 사업계획을 제출한 청년농들도 있었다.

현재 서울에 거주하는 A씨는 귀농 예정지인 경남 진주의 선도기술 농가(멘토)의 농장에서 숙식을 하면서 시설 고추 재배기술 및 농기계 작동법 등을 배우는 영농예정자였으며, 18세 최연소로 선정된 전남 강진의 창업 예정자 B(여성)는 금년 농과계 고교 졸업자이며, 재학중 유기농업 기능사, 종자기능사 등을 취득하고 이미 276시간의 실습교육을 이수하는 등 농업인이 되기 위해 철저히 준비한 사례도 보인다.

평가위원의 평가

이번 선발과정에 참여한 평가위원들은 전반적으로 영농에 대한 의지와 역량이 높은 지원자들이 많았다고 평가했다. 농업경영 전문 컨설턴트 박흔동 평가위원은 깜짝 놀랐다! 농업에 대한 포부가 남다른 청년들이 도전하는구나! 이번 사업이 SNS로 무장하고 고객과의 소통에 자신 있어 하는 청년들에게 마중물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라고 말했다.

농업인 현장실습 지도교수이기도 한 류진농원 유재하 대표는 면접평가에서 지원자들의 강한 의지와 탄탄하게 설계된 미래계획을 들으면서 우리 농업의 미래에 대한 걱정을 덜 수 있는 계기가 됐다라고 평가했다.

교육계획

농식품부는 선발된 청년창업농 1168명을 대상으로 이달 12일부터 18일까지 강원·경기, 전남북, 경남북, 충남북, 제주 등 5개 권역에서 관계기관 합동으로 설명회를 개최한다.

농식품부는 농식품산업 정책과 청년창업농 육성 정책 전반을 설명하고, 영농정착지원금 지원 및 사후관리 방안을 안내하는 한편, 청년창업농에게 부여되는 의무영농(최장 6), 의무교육(연간 160시간), 경영장부 작성 및 농업경영실적 제출 등의 의무 등도 상세히 설명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 한국농어촌공사, 농협중앙회 및 농협카드,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등 관계기관들은 소관 분야별로 경영진단 및 컨설팅, 비축농지 임대, 후계농창업자금 지원, 정착지원금 카드 활용, 선도농가 실습교육 및 농업법인 인턴지원, 판로지원 등 지원사업을 설명한다.

지원기간 및 금액에 너무 인색

청년농사업은 올해 처음 시작되는 사업이어서 청년농업인으로부터 관심이 높다. 그러나 지원의 기간과 금액의 인색함은 사업추진의 동력을 얼마나 유지할지 걱정이 앞선다는 것이 농업계는 물론 정계에서도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의 관계자는 청년농사업이 3년에 불과한데 그것도 영농정책 시기에 따라 3년차 이상은 지원이 없고, 2년차 1, 1년차 2, 영농취업준비자 3년 등의 지원밖에 없고, 지원금액도 첫해 100만원, 이듬해 90만원, 3년차 80만원 등 지원액에 인색하다는 지적이다.

설훈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장도 유럽이나 일본도 5~7년 청년농업인을 지원하는데 그들 나라보다 더 열악한 대한민국에서 3년밖에 지원하지 않는 것은 생색내기에 불과하다는 의견을 피력한 바 있다. 청년인력을 농촌의 미래인력으로 생각한다면 그럴 수 없다고 밝히고 있다. 전 가톨릭농민회장인 정현찬 농정개혁위원회 공동위원장은 이같은 지원방식이면 청년농사업을 신청한 사람이라도 중도에 다시 탈농할 수 있어 정책사업의 목적달성을 제대로 하지 못할 수 있다며 유럽과 일본의 정책을 제대로 벤치마킹 해야 한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