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종합농협 개도국의 개발모형으로
한국형 종합농협 개도국의 개발모형으로
  • 김영하 대기자
  • 승인 2018.05.18 14: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경연-IFAD 공동심포지엄 개최

[농축유통신문=김영하 대기자] 한국 농업협동조합의 종합농협 체제가 개발도상국의 농업·농촌 개발을 위한 모형으로 제시되는 등 개도국에 한국형 종합농협의 체계 도입이 부각되고 있다.

지난 11일 농림축산식품부와 국제농업개발기금(IFAD)은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국제사회에서의 지속가능한 농업개발-협동조합의 역할과 전망이라는 주제로 국제 공적개발원조(ODA) 포럼을 김현수 농식품부 차관과 길버트 호웅보 IFAD 총재, 김창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김병원 농협회장 등 국내외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했다.

이날 포럼은 IFAD 등 국제기구가 한국이 과거 국제사회의 원조를 받던 최빈국에서 지금은 식량원조국가로 급성장한데에 주목해 개도국의 농업·농촌 발전에 활용하기 위해 마련됐다.

황의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협동조합을 통한 농업·농촌의 지속가능 발전 전략에서 개도국에는 특정 품목에 한정한 전문농협 체제보다는 한국처럼 여러 영역을 포괄하는 종합농협 체제가 더 효과적이라며 현재 많은 개도국들은 커피 농협과 같이 한가지 품목의 생산·판매에 한정한 전문농협 방식을 채택하고 있지만 전문농협 체제에서는 농자재나 자금조달문제 등을 해결하지 못해 조합원들의 충성도가 낮아지는 일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황 선임연구위원은 이와 관련 “(종합농협이) 농가에게 농자재 구매를 위한 자금을 저리로 지원하고 이를 통해 농가소득을 높여 농가의 대출 상환능력도 향상시키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낸다면서 이는 농촌의 빈곤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기여했다고 종합농협을 개도국의 발전의 모형으로 제시했다. 이를 위해 농업금융과 협동조합사업을 유기적으로 연계시키는 일이 중요하다며 종합농협의 강점을 활용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준코 사자키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사회정책·농촌제도국장은 개도국 농업·농촌에서 협동조합을 통한 개발의 의의라는 발표에서 개도국 농업 개혁을 위한 협동조합의 역할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전세계 농가의 72%는 경작규모가 1미만이며, 이들 중 80%가 빈민이어서 이들은 자산이 없다보니 신용에 기반을 둔 금융서비스도 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준코 국장은 이 때문에 협동조합은 소농들을 위해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자활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병원 농협회장은 이와 관련, “한국도 1950년대까지 보릿고개란 말이 유행할 정도로 극심한 식량난을 겪었다이에 한국 정부가 1961년 경제와 금융사업을 겸하는 종합농협을 발족했고 그때부터 한국 농협은 식량증산과 농가 고리채 해소 등 농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앞장서왔다고 설명했다.

김 회장은 이어 한국 농협은 이제 세계 4위의 협동조합으로 성장했다지금은 농민들이 어떻게 하면 좋은 환경에서 농사짓고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지원할지를 고심하고 있다고 피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