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if] ‘넥슨 매각설’처럼 ‘하림 매각설’이 돈다면?
[What if] ‘넥슨 매각설’처럼 ‘하림 매각설’이 돈다면?
  • 김재광 기자
  • 승인 2019.01.21 13: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게임산업 위기감으로 본 육계산업 풍향계
지난해 10월, 육계후계자들에게 육계산업의 비전을 강의하고 있는 김홍국 회장.
지난해 10월, 육계후계자들에게 육계산업의 비전을 강의하고 있는 김홍국 회장.

[농축유통신문 김재광 기자] 

올해 초 게임업계의 가장 큰 손인 넥슨이 회사를 매각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경제·IT분야 주요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연매출만 2조원이 넘는 국내 1위 게임사 넥슨이 게임업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하기 때문에 게임업계도 매각설의 배경과 인수 후보에 대한 추측이 난무하는 등 크게 동요하는 모습이다.

워낙 덩어리가 큰 회사여서 국내엔 넥슨을 인수할 만한 기업이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해외 매각이 불가피한 가운데 기술유출과, 고용불안, 글로벌 네트워크, 국내 게임시장 점유율 등 넥슨 매각은 곧 게임산업의 위기라는 우려가 쏟아지고 있다.

넥슨을 창업한 김정주 NXC 대표가 매각을 결심한 이유로 다양한 분석이 제기됐다.

일각에선 셧다운 제도, 마약·술과 같은 질병 코드 분류 움직임 등 정부의 게임업계 규제에 김 대표가 환멸을 느꼈다는 시각이 가장 먼저 떠올랐다. 연결되는 문제로 국내 규제로 인해 국내 게임산업이 동력을 잃어 해외시장으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는데, 미중 통상갈등 등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변환분위기에 따라 수출환경이 어려워진 점과 로열티 수입 불투명성도 부각됐다.

정부 규제와 답답한 해외 진출길로 인한 최근 게임산업의 위기감은 닭고기 산업 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

닭고기 산업 또한 정부가 치킨가격 상승을 제어하기 위해 세무조사 압박, 가격공시제 등 다소 부자연스러운 규제책으로 시장에 개입한 바 있다. 치킨가격 상승은 인건비와 임대비용 등의 이유가 크다. 치킨브랜드와 육계계열업체와의 공급계약에서 단가 변동이 즉시 반영되기 어려워 치킨가격상승과는 큰 영향이 없다는 얘기다.

중소규모 계열업체의 불공정 문제를 하림, 참프레, 체리부로 등 대형 닭고기 기업들의 문제로 인식하고 공정위는 특히 하림을 주요 타깃으로 정조준 하고 있다. 게다가 헌법(제 123조)과 축산계열화사업법(제 5조)에 의해 농수산물 수급균형과 가격안정을 위한 생산조절을 할 수 있음에도 ‘계열사 담합’으로 몰고 장기간 닭고기와 오리, 토종닭 산업을 위축시키고 있다.

국내 1위 닭고기 기업 하림의 경우 2000년 이후 평균영업이익률 약 2%대라는 저조한 실적을 보이고 있다. 비단 하림만의 문제는 아니다. 닭고기 계열업체 대부분 저조한 이익률을 보이거나 오랜 적자경영에 허덕이는데 규제책은 나날이 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하림 내부적으로 ‘차라리 육계산업에서 손을 떼자’는 아우성이 나왔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대해 정병학 한국육계협회장은 “하림의 시작이 육계사업이었기 때문에 김홍국 회장은 어떤 상황이 와도 육계사업에 손을 떼진 않을 것”이라며 “김 회장은 하림의 상징성을 담고 있는 육계사업에서 이익을 남기려하기 보다 산업의 안정성을 위해 공익적 기능을 추구하고 있는 사람”이라고 평가했다.

육계사육농가들 또한 이러한 위기감을 겪은 바 있다. 2017년 국정감사를 통해 육계농가 불공정 논란이 일자 전국육계사육농가협의회가 국회와 정부의 닭고기산업 압력을 자제하라는 취지의 기자회견을 자처했었다.

전방위적인 압박으로 회사가 손을 떼게 되면 농가들의 일자리가 사라질 뿐만 아니라 85%수준을 보이는 국내 닭고기 자급률 또한 급격한 하락세를 보일 것이라는 게 농가협의회 대표자들의 설명이다. 이부환 올품사육농가협의회장은 “국내 기업들이 발을 빼고 해외 기업들이 닭고기시장에 유입될 경우 소규모 농가들은 더욱 살아남을 수가 없다”고 말했다.

닭고기소비량이 늘고 있는 한국은 세계 닭고기 시장을 장악한 미국 타이슨푸드와 브라질의 JBS 등 글로벌 기업에게 여전히 입맛을 다시는 시장이다.

연간 닭고기 소비량은 늘고 있지만 도매가는 지난 10여년 간 약 3351원 수준으로 변동이 없었다. 그러나 최근 공정위 조사 압박으로 수급조절위가 열리지 못하자 계열업체들이 육계 입식물량을 줄이고 몸사리기에 나서면서 생닭 9-10호 기준, 올초부터 도매가가 4600원에 육박했다. 업계에선 글로벌 품질경쟁력이 무색해 지고 그저 '값싼 수입 닭고기'의 국내 닭고기 시장 침투가 가속화 될 것이란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통상 마찰에도 끄떡없는 국제교섭력을 갖추기 위한 적극적인 자세도 요구된다. 문재인 대통령의 활발한 외교행보에 농림축산식품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수출 유연성을 키우는 노력을 발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삼계탕 수출이 중국, 일본, 아시아, 중동, EU 등 세계 곳곳에 활발하게 수출되기 위해선 냉동 삼계탕 수출 검역협의부터 이뤄져야 하지만 이러한 협상은 기업단위에서 풀기 어려운 문제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육계계열사들이 국제 경쟁력을 가지고 더욱 견고한 내수방어를 할 수 있도록 정부의 혜안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때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