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제4회 흙의 날에 붙여
[사설] 제4회 흙의 날에 붙여
  • 김영하 대기자
  • 승인 2019.03.15 10: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축유통신문 김영하 대기자]

4회 대한민국 흙의 날이 지난 11일 서울 중구 농협중앙회 대강당에서 열렸다. 이번에는 기념식만이 아니라 건강한 흙, 건강한 농촌 가꾸기를 테마로 심포지엄도 열렸다.

땅심 높이기를 의미하는 흙살리기는 토양환경의 개선을 통해 우리 먹거리인 농산물이 환경친화적으로 재배될 수 있는 기반이 되는 것이다. 이번 개최된 심포지엄은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을 실현할 중장기 전략뿐 아니라 마을단위에서 어떻게 흙과 농촌을 건강하게 가꿀지에 대한 열띤 토론도 있었다. 바람직한 기념행사다.

흙은 지금까지 사회적으로 농지로서의 의미보다 재산가치로 평가되는 땅으로 투기의 대상이 돼 경자유전의 원칙이 무너져가는 실상을 보여 왔다. 오죽하면 직접지불금을 강탈하는 부재지주들의 횡포를 막기 위한 정책수단이 나와야 한다는 농민들의 이야기가 나오고 있을까. 더군다나 이런 개발로 흙은 공기층과 단절돼 오염되고 건물과 도로로 전환되면서 지하수를 함양하는 기능도 상실되고 수자원이 고갈되면서 매년 가뭄이 반복되고 있다.

어쨌든 흙은 개발을 통한 투기의 수단으로서 땅이 아니라 농지로 거듭나야 한다. 이를 위해 흙살리기는 토양환경의 개선과 이를 통한 건강한 먹거리의 생산을 위해서 흙이 숨쉬고 미생물의 자연생태계가 순환하는 기능을 해야 한다.

이런 영향으로 현재 토양에 투입되는 무기양분의 상당량이 작물에 흡수되지 않고 외부로 유출된다. 질소가 물로 흘러들면 녹조 현상을 유발하고 공기 중에선 암모니아로 변해 초미세먼지의 원인 물질이 된다. 인산 역시 살포량의 적은 비율이 작물에 흡수된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이미 토양에 양분을 과도하게 투입, 토양 속 질소비율이 세계에서 가장 높다.

따라서 토양 속 양분 이용률을 높이는 연구가 절실하다. 국가적으로 양분수지 저감을 위한 정책을 만들어 확산시켜야 한다. 시설재배지 같은 취약 농경지를 집중 관리해야 한다. 이모작과 사료작물 재배를 권장하는 게 대표적인 방안이다. 또 가축 사육마릿수 조절과 축분 활용기술도 필요하다. 축산분뇨를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토양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토양환경의 보전을 위해 기후변화 대응책으로 생태농업·협동사회경제를 주목해야 한다. 흙살리기와 생태농업은 관련을 생각하지만 협동사회경제는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그러나 환경 파괴가 심화하면서 석유·석탄에 의존하던 에너지 사용 체계가 한계에 봉착했다. 2019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에서 발표된 세계 10대 위기 중 5개가 환경과 관련된 것이다. 지난해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앞으로 지구 기온 상승을 1.5로 제한하자는 특별보고서를 내놓으며 에너지 사용체계를 바꾸자는 데 합의했다. 이것이 농촌 그린뉴딜개념이 하나의 대안이라고 본다.

에너지의 환경대응과 이를 통한 사회적 경제는 흙살리기를 위한 주변요인인 것이다. 재생에너지·생태농업·협동사회경제 3가지를 합쳐서 기후변화에 대응함으로써 토양보전도 자연스럽게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결국 종 다양성을 확보하고 토양·물 등의 환경보전과 자연자원 고유의 재생산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