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구축없는 스마트농업 ‘사상누각’
빅데이터 구축없는 스마트농업 ‘사상누각’
  • 김영하 대기자
  • 승인 2019.04.05 11: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마트팜 아닌 스마트농업 정책 펼쳐야
농업 생산기술만이 아닌 시장 등 다양한 종합대책 ‘절실’

[농축유통신문 김영하 대기자]

우리나라 스마트농업의 추진이 정밀농업, 스마트온실, 가축 모니터링 등을 폭넓게 적용해야 하지만 시설농업, 즉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실내농장에 국한돼 추진, 우리가 직면한 농업 현안을 해결할 수 있을까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온실의 섣부른 집적화와 시장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계획과 빅데이터의 구축이 부족한 대규모 스마트단지의 추진으로 농민들의 반대는 물론 사업추진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최근 남재작 한국정밀농업연구소 대표는 GS&J인스티튜트를 통해 스마트농업을 스마트하게 하려면이라는 발표를 통해 이같이 문제를 제기했다.<3면 상보>

여기에서 스마트농업이란 정보통신기술을 농업의 생산, 가공, 유통, 소비 전반에 접목해 원격에서 자동으로 작물의 생육 환경을 관리하고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말하고 있다.

남 대표는 미래농업 발전을 위해서는 시설 농축산에 국한된 스마트팜보다는 농업 전반에 활용 가능한 농업용 로봇, 농사의사결정시스템 등 핵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집중이 필요하다그러나 현재 농림축산식품부가 추진하는 스마트농업 정책은 주요 농산물 수급조절 및 가격보장책이 전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스마트팜 온실을 집적화하고 있어 기존 영세 시설농가의 입지를 오히려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남 대표는 또 주요농산물 생산 과잉을 부추기고 결국 대기업 자본의 농업 진출 빌미와 여지를 더욱 더 제공할 수도 있다청년창농인을 육성하겠다는 정부의 스마트팜 추진 정책에 대해서도 영세 시설원예 농민과의 농-농 갈등을 부추길 수 있다고 문제를 지적했다.

남 대표는 특히 정부가 이외에도 2019년부터 블록체인을 활용한 축산물이력관리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농지재배품목 등 영농정보를 GIS기반으로 통합 활용하는 시스템을 시범 구축할 예정이지만 정부의 스마트농업 추진 정책은 주로 스마트팜 정책에 방점을 두고 있다그렇기 때문에 스마트팜은 스마트농업을 위한 징검다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역할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스마트농업은 더 적은 자원을 사용하고 생산 비용을 줄이면서 더 많은 작물을 생산하기 위해 농장에서 다양한 작물을 적정하게 관리하는 기술체계를 의미하고 있어서 관련 정책은 작물 생산량 및 병해충 모니터링, 토양 맵핑, 기상 관측 및 예측, 정밀관개기술, 농장의 재고 및 노무관리 등 포함해 종합적인 대책이 준비돼야 한다는 조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