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농민단체, 전국연대조직으로 거듭나라
[사설]농민단체, 전국연대조직으로 거듭나라
  • 김영하 대기자
  • 승인 2019.05.17 09: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축유통신문 김영하 대기자]

농업농어촌특별위원회가 출범했지만 농특위원에서 한농연과 전농의 대표자들이 빠졌다. 1990년대와 같으면 단체가 함께 모여 농민들의 합일된 여론을 모았고 그것조차도 연대의 힘이 모자라다면서 보수와 진보를 떠나 농민단체협의회나 더 강한 연대조직인 농민연대를 구성했다.

그러나 지금은 농민의 길과 농축산연합회로 조직이 나뉘어 농민들의 의견이 하나로 모여지기는커녕 절반의 농민연대조직 조차 갈등으로 제대로 뭉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농민의 길의 경우 대표를 단체들이 돌아가면서 하고 있지만 이번에 맡기로 되었던 조직 상황상 전여농과 가농이 대표를 못하겠다고 반려해 박행덕 전농 의장이 상임대표를 맡았다.

그러나 농축산연합회는 상임대표를 맡기 위해 치열하게 싸운다. 3년전 농축산연합회 상임대표 선거에서는 전국적인 농민단체장과 품목단체장이 경합을 벌여 품목단체장이 농축산연합회의 상임대표가 됐고 올해에도 경선을 포기한 한농연과 달리 경선을 요구하며 회장에 도전한 품목단체장이 상임대표가 되면서 농민연대조직을 품목단체장이 맡는 기형적인 구조가 된 것이다. 어찌 품목단체 대표가 직불제나 농민기본소득제, 협동조합 개혁 등 농업의 중추적인 농정에 대해 농민을 대변할 수 있을까?

오히려 품목조직이더라도 농민단체장을 10년 이상 해온 단체장이 전국적인 농민단체장을 맡게 됨으로써 농정의 전반적인 이슈를 제기해 농민운동으로 이끌어내는 힘을 많이 약화된 것이다. 이 얘기는 정치적 성향이 강한 농민단체장들이 연대조직의 장이 되면서 농민운동의 흐름이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특히 이들은 품목부문에서는 전문성을 보이지만 쌀목표가격이나 직불제 개혁, 농협개혁, 농민수당이나 기본소득제, 먹거리선순환정책 등 농업전반을 대표하는 개혁적인 마인드의 부족으로 관련 토론회나 공청회 등이 열릴 때 왜곡된 발언을 하기도 하고, 전문성 부족으로 논리적으로 밀려 농민들의 의견을 제대로 대변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요즈음 농협조직을 빼고 농민단체의 대표자 선거가 불법타락선거인 것은 삼척동자도 잘 안다. 농협조직의 경우에는 선거를 국가에 위탁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조직적인 선거관리로 불법 타락선거가 많이 방지되고 있다. 그러나 농민단체의 선거는 수억대의 선거자금이 동원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방지 또는 관리장치가 전혀 없다. 조직 내부의 선관위는 돈선거를 막지 못하며, 선거공영이나 출마자 정책공약 토론회조차도 열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농민단체 장들의 농민대변 활동이 제대로 될 리 없다. 각 단체들은 각기 신문이나 잡지 등의 경영체를 갖고 있다. 그래서 그 경영체를 통해 농민단체들은 활동비만이 아니라 각종 이권에 개입해 불법을 자행하기도 한다. 경기도의 한 협의회 대표자는 농사도 짓지 않으면서 농민대표로 활동하며 지역농민축제 등의 명분으로 자신이 소유한 이벤트업체에 대한 지원금을 요구하는 등 다양한 사례의 불법이 자행되고 있다.

농민들이 갈기갈기 찢겨진 채 서로 뭉치지 못하니 정부도 농민단체를 뭐로 보겠는가? 농민단체장들이여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는 생각으로 전국농민단체들의 연대조직이 다시 조직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농특위의 활동을 견제하고 문재인 정부의 농정을 반석위에 세우려면 농민단체의 연대조직화만이 살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