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농산업에서도 일본 종속 벗어나자
[사설]농산업에서도 일본 종속 벗어나자
  • 김영하 기자
  • 승인 2019.08.16 10: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축유통신문 김영하 기자] 

우리는 지금 농산업분야에서 얼마나 일본에 의존하고 있는지 잘 모른다. 최근 일본 정부는 우리 대법원이 내린 일제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대한 보복으로 반도체 소재 등 3품목에 대한 수출규제를 발표했고 이어서 우리나라를 우방국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에서 제외하는 등 우리 경제에 타격을 입히는 등 경제보복을 펼치고 있다.

이에 반발해 우리 국민들은 일본 여행을 자제하는 것은 물론, 맥주 등 생필품에서 의약품 등 전문적인 제품에 이르기까지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그러나 농업분야에서는 어떤 상황인가? 생각보다 일본의 잔재가 깊숙이 남아있다. 일본의 기술력을 넘지 못하고 아직 많은 분야에서 일본 의존적인 농산업 구조체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금도 논과 밭에서는 구보다의 트랙터가 가동되고 있고, 다끼이의 종자로 채소재배가 이뤄지고 있으며, 일본산 특수비료가 시설원예에서 사용되고 있다.

하다못해 우리의 유기농업조차 일본에서 건너온 것이 상당수다. 후쿠오카 마사노부가 창시한 자연농법이 그렇고 미생물농법이 그렇고, 일본 고타니 주니치 애농회의 유기농업을 받아들인 것이 정농회의 시작이다.

농촌진흥청도 한창 일제가 조선을 침탈하는 과정이었던 1906년 설립된 권업모범장이 기원이다. 일제 강점기인 1929년 농사시험장으로 개칭했으나 해방 후 미군정청 중앙농사시험장으로 다시 개칭했고 1947년 농사개량원, 1949년 농업기술원으로 재편하면서 규모가 커지기 시작했다. 1957년 농사원이 발족했고 1962년 농사원, 농림부 지역사회국, 농림부 훈련원을 통합해 농촌진흥청이 발족된 것이다.

그렇기에 농업연구, 특히 종자의 개발과 이와 관련된 농업기술의 시원도 일본이다. 우장춘 박사가 전파한 농업기술도 일본기술이었고 식량 수탈을 위해 벼농사의 기술을 많이 투입한 것이 농업기술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농약, 비료, 종자, 농기계 등의 산업에서는 더욱 일본 농산업의 영향이 크다. 그렇다 하도라도 농기계 분야에서는 대동공업를 비롯한 몇 업체들이 국산화와 한국의 지형에 맞는 농기계를 개발보급하기 위해 노력해왔고 비료분야에서는 미국 ISOM의 원조와 화학비료회사의 건립으로 나름 발전해 왔다. 농약분야도 원제개발은 많지 않았어도 원제를 활용한 혼합제제의 개발이 많이 발전해 중국에도 수출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그러나 종자분야는 일본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기술력이 올랐으나 1990년대 후반 종자업체 빅3가 다국적기업에 팔리면서 흔들렸다. 그런 과정에 농기계조차도 일부 국내업체들이 도산하고 일본산 수입이 늘어난 것은 물론, 부품도 일제 의존도가 높은 등 우리나라 농산업 자체가 흔들리고 있다. 더구나 최근 농산업은 농산물 원가 때문에 가격이 묶여있다.

반도체 등 첨단소재만이 경제전쟁의 대상일 수는 없다. 농산업도 자체적으로 성장하고 우리의 기술력으로 자급하고 발전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그래야 하는 이유는 농산업이 우리 식량생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이는 곧 식량안보와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이다. 정책당국자의 적극적인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