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 멧돼지 11번째 확진에 ‘초동대응 실패 논란’
연천 멧돼지 11번째 확진에 ‘초동대응 실패 논란’
  • 정여진 기자
  • 승인 2019.10.21 10: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축유통신문 정여진 기자] 

  • 연천군 장남면 및 와초리 내 멧돼지 폐사체서 ASF 검출
  • 환경부, “신속히 추가 철조망을 설치, 주변 지역 폐사체 예찰 강화할 것

지난 179차 감염 멧돼지에 이어 연천에서 2건의 감염 멧돼지가 발견됨에 따라 소극적 총기포획 등 초동대응 실패로 ASF가 확산된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장윤석)은 지난 18일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와초리 615번지 산속 묘지주변과 지난 20일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반정리 민통선 내에서 발견된 멧돼지 폐사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국립환경과학원의 분석 결과 두 건의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확진됨에 따라 총 11건으로 늘어났다.

일각에서는 지난 5월 북한이 세계동물보건기구(OIE)ASF 발병을 신고했고 지난 7월부터 접경지역 중심으로 멧돼지 폐사체가 급증했음에도 정부의 소극적 총기포획 등의 조치로 초동대응에 실패한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빗발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지난 5월 북한에서 ASF 발생이 공식 확인됨에 따라 접경지역을 통한 질병 유입 등 모든 전파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해 선제적 방역 조치를 시행해 왔다접경지역 14개 시군을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 방목사육 금지, 울타리 설치 및 멧돼지 기피제 배포 등 실시했다고 입을 열었다.

국내 ASF 발생 이전인 5월초부터 접경지역에 대해, 6월부터 전국 양돈농가 주변지역에 대해 총기포획을 강화했다다만 916일 국내 농장에서 ASF 발생 이후에는 발생지역을 포획대상지역에서 제외시켜 멧돼지 이동을 최소화하고 그 외 지역에 대해서만 총기포획을 강화하는 원칙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벨기에의 경우 약 110km의 펜스를 설치해 멧돼지로의 감염 전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한 사례로 차단 이후 멧돼지 포획과 포획틀 등 개체수 조절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바 있다. 벨기에는 멧돼지 탈출 등으로 외부에서 바이러스가 확인되는 경우 펜스를 더 넓게 확장시켜 멧돼지 차단에 총력을 가한 것과 같이, 국내 차단시설에도 전기 울타리 설치 등 펜스 설치에 중요도를 높여야 하는 시점으로 판단되고 있다.

한편 환경부는 지난 5월 북한에서 ASF가 발생한 이후 접경지역은 농가의 신고가 없어도 총기를 이용한 사전포획을 한데 이어 6월부터 전국 양돈농가 주변까지 사전포획을 확대하도록 조치했지만 916일 국내 양돈농가에서 최초 ASF 발생때부터는 발생지역에서 있을 수 있는 감염 멧돼지 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생 주변 지역에 대해 총기포획 금지조치를 취했다.

이와 관련해 최근 환경부는 구역을 나눠 발생지역에는 감염 멧돼지 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총기포획을 제한하고 발생지 외곽지역은 적극적인 포획으로 야생에서의 바이러스 전파 차단에 집중하고 있다.

다만 11월 번식기가 되면서 멧돼지의 이동이 활발해져 확실한 대책이 필요한 시점에 이르렀다. 멧돼지는 하루에 30~100km 이동할 수 있음에 따라 감염·위험지역에서의 멧돼지 이동저지 방안을 신속히 마련하고 그 이후에 총기 포획도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정원화 생물안전연구팀장은 신속하게 추가적인 철조망을 설치하고 주변 지역의 토양오염 여부와 폐사체 예찰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