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정부는 왜 ASF 역학조사결과 밝히지 않는가?
[기자수첩] 정부는 왜 ASF 역학조사결과 밝히지 않는가?
  • 정여진 기자
  • 승인 2020.03.20 13: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축유통신문 정여진 기자] 

지난해 917ASF 가 첫 발생했으니 벌써 6개월가량 지났다. 정부는 전국 양돈농가에 ASF 차단방역을 권고하면서 야생멧돼지를 차단하기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특히 최근 정부는 ASF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구성, 야생멧돼지 포획 및 차단 등을 진행 중이다.

코로나19 발생으로 중수본이 구성됐듯이 ASF도 국가적인 사고에 해당하기 때문에 ASF 중수본이 구성된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ASF멧돼지가 지속 발생돼 설치된 강원도 ASF현장상황실은 좀 더 일찍 생겼으면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사람의 경우 CC(폐쇄회로)TV나 신용카드 등으로 경로를 추적하기가 야생동물보다는 쉬운 편이긴 하지만 방역당국은 발생지인 중국에서의 입국을 금지하고 코로나바이러스의 이동경로를 밤낮없이 파악하는 등 많은 노고를 겪고 있다. 또 대구 신천지교회, 구로 콜센터 등에서 급격히 질병이 확산돼 정부는 이를 통제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그렇다면 ASF를 막기 위한 특단의 대책은 무엇인가? 코로나 바이러스 전파를 막기 위해 중국인의 입국을 금지시켰듯 발생 원인에 맞는 대책이 있어야 한다. 환경부는 917일에 첫 발생한 파주 농가 주변을 점검한 결과 야생멧돼지 전염에 의한 발병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밝힌 바 있다. 해당 지역은 신도시 인근 평야지대로 주변 구릉지는 소규모로 단절돼 있어 멧돼지 서식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또 마을 이장도 해당 지역에 멧돼지 활동은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럼 멧돼지 외의 야생동물에 의한 전파인가?

전세계적으로 멧돼지 외의 동물을 통해 전파된 사례는 거의 없어 이러한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역학조사 결과를 밝히지 않아 이러한 추측은 난무하다. 농가는 농장주변에 멧돼지 기피제를 도포하고 농장 내 울타리 설치, 신발 갈아신기 등 방역에 최대한 신경 쓰고 있지만 어떤 원인으로 발생했는지 모르기 때문에 불안감은 가시지 않는다. ASF로 인해 살처분·수매 농가들은 애매모호한 재입식 대책으로 삶의 터전을 잃은 채 계획을 세우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만약 정부가 역학조사를 통해 발병원인을 찾지 못했다면, 지금까지 해온 역학조사 결과라도 공개하길 바란다. 또한 봄철 메이팅시즌(Mating-season)에 멧돼지의 개체 수가 폭증할 것을 대비해 보다 면밀한 대책을 내놓길 바란다.

현재 정부는 국립공원 내에서 야생멧돼지 포획을 금지하고 있다. 국립공원이 제2의 대구 신천지교회가 되지 않길 바란다. 국립공원을 통해 ASF 야생멧돼지가 전국적으로 퍼질 수 있는 확률을 제로화하길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