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농가평균소득 4118만원, 전년대비 2.1% 하락
2019년 농가평균소득 4118만원, 전년대비 2.1% 하락
  • 농축유통신문
  • 승인 2020.05.01 11: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채소류 등 가격하락 및 쌀직불금 지연 등 농업소득 감소
  • 농업외소득 증가, 직접지불 확충 등 소득안전망 역할

[농축유통신문] 

2019년 농가소득은 평균 41182000원으로 전년대비 884천원, 2.1% 감소한 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일부 농축산물 가격하락과 쌀 변동직불금 지급 지연에 따른 농업수입 감소 영향으로 농업소득이 20.6% 감소한 반면 6차산업화 등 농업외소득은 2.2% 증가하고 직접지불금 확대, 국민연금 급여 확대등 소득안전망 확충으로 이전소득도 증가(13.5%) 했다.

또 경영주 연령별로는 40대 이하(7.1%), 50(0.2%), 60(2.2%) 주력농가 그룹의 소득 증가에도 불구하고 70대 이상 농가 소득(3.3%) 감소로 평균 농가소득은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농가경제조사 항목별 추이(단위: 천원, %)

 

2015

2016

2017

2018

 

2019

 

증감률

('19/'18)

구성비

구성비

농 가 소 득

37,215

37,197

38,239

42,066

100.0

41,182

100.0

-2.1

- 농 업 소 득

11,257

10,068

10,047

12,920

30.7

10,261

24.9

-20.6

- 농업외소득

14,939

15,252

16,269

16,952

40.3

17,327

42.1

2.2

- 이 전 소 득

7,906

8,783

8,902

9,891

23.5

11,230

27.3

13.5

- 비경상소득

3,114

3,095

3,022

2,302

5.5

2,364

5.7

2.7

농가 자산

453,580

474,309

505,881

495,687

-

529,455

-

6.8

농가 부채

27,215

26,730

26,375

33,269

-

35,718

 

7.4

농업소득 중 농업총수입은 주요 농작물 수입 감소(5.7%)와 쌀 변동직불금 지급 지연에 따른 농업잡수입(35.5%)감소 등으로 전년대비 3.7% 감소(2018:35757천원2019:34436)했다.

주요 과실·채소류 등 수급 불안 및 태풍에 따른 품위저하에 따른 가격 하락 등으로 채소·과실류 수입은 감소했다. 양파는 2018 평균 785/kg에서 2019 평균 594/kg으로 전년대비 24.3%, 사과는 2018 평균 32429/10kg에서 2019 평균 26299/10kg으로 전년대비 18.9% 내려갔다.

축산물은 2019년 전반적인 축산물 가격 상승 및 농가 생산 증가 등으로 축산분야 수입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돼지 생산량은 25018년 대비 증가(2.7%, 수입량도 증가추세: 20152019 연평균 3.9%), ASF 발생에 따른 소비자 기피 심리 등으로 판매가격은 12.0%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돼지 평균가격은 20184296/kg에서 2019년에는 3779/kg으로 떨어졌다. 미곡은 2019년산 수확기 쌀값이 전년 대비 1.9% 하락했고 수확기 쌀값은 2016129807/80kg2017 15321320181935682019189964으로 변동됐다.

사료비는 배합사료 가격 인상 등으로 전년대비 8.4% 증가했고 농약비는 20191PLS 시행 등 안전관리 강화에 대응한 고가·고활성 농약 판매 증가 등 이유로 7.5% 증가했다.

농업외소득은 농촌융복합산업 및 농촌관광 활성화 등 지속적인 농가소득 다각화 추진으로 겸업소득이 증가했다.

농가 평균 부채는 증가(245만원)했으나 자산도 증가(3377만원)해 자산 대비 부채비율은 6.7%로 동일 수준을 유지했다.

정부는 주요 농산물 수급 안정을 도모하고 공익형직불제, 재해보험 등 소득안전망을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주요 채소류 가격 불안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관측체계를 확충하고 채소가격 안정제 를 확대하며 주요품목 의무자조금을 도입한다는 것이다,

또 농가소득 안정 및 농업의 공익적 기능 강화를 위해 공익형 직불제를 51일부터 본격 시행하고 재해보험을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이와 함께 FTA 등 시장 개방화 등에 따라 가격이 하락한 것으로 보이는 돼지 등의 품목에 대해서는 FTA피해보전 직불금 요건 충족 여부 등을 분석,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경영주 연령별 농가수지(단위: 천원, %)

 

농가소득

가계지출

자 산

부 채

2018

2019

증감률

평균

42,066

41,182

-2.1

35,339

529,455

35,718

40대 이하

51,559

55,219

7.1

55,664

820,810

145,655

50

66,619

66,745

0.2

53,115

605,847

75,133

60

46,385

47,398

2.2

38,391

582,148

37,390

70대 이상

28,953

27,989

-3.3

26,383

446,561

15,135

 

영농형태별 농가수지(단위: 천원, %)

 

농가소득

가계지출

자 산

부 채

2018

2019

증감률

평균

42,066

41,182

-2.1

35,339

529,455

35,718

논 벼

32,787

30,246

-7.8

27,380

514,758

15,168

과 수

38,016

35,273

-7.2

33,112

584,151

24,533

채 소

30,773

28,844

-6.3

29,764

404,491

24,965

축 산

78,243

75,466

-3.5

40,229

980,696

109,289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