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가짜농부 판치는데 언제까지 방치할 건가
[사설] 가짜농부 판치는데 언제까지 방치할 건가
  • 농축유통신문
  • 승인 2020.05.01 13: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축유통신문] 

농업인이 아니면서도 농지를 소유한 비농업인의 농지면적은 735000에 이른다. 이는 서울시 전체 면적의 10배가 넘는 엄청난 땅이며 그 면적은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날까. 농지를 재산 증식의 수단으로 이용하는 가진 자들의 투기 때문이다. 농사를 짓지 않는 사람들이 전체 농지의 44%를 차지하고 있으니 직접 농사를 짓고 있는 농업인들의 입장에서는 이들이 한마디로 눈꼴시리지만 법이 이를 보장해주고 있으니 할 말이 없는 형편이다.

헌법 제121조의 경자유전의 원칙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농지의 44%를 부재지주가 차지하고 있다면 뭔가 잘 못 되도 한참 잘 못된 것이다.

그래서 농지제도를 전면적으로 개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헌법상 위헌적 요소는 모두 개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비농민이 농지를 소유할 수 있는 것은 국가기관을 빼면 모두 예외적인 조건의 특혜를 입고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

예를 들어 주말농장을 운영하려는 사람은 1000(303)미만의 농지를 소유할 수 있다. 이 자체가 위헌이다. 주말농장을 하려면 농지를 소유한 농민으로부터 임대비를 내고 빌려서 농사를 지어야지 이를 사들여 주말농장을 운영하는 것은 법에 어긋나는 일이다. 당연히 이 규정은 개정이 필요하다.

귀농을 하던지 농업법인을 통해 시설농업을 하던지 반드시 농사를 짓는 사람만이 농지를 소유하도록 해야 한다. 농지법 제6조에 그 내용이 있다. 특히 3항에는 주말·체험영농을 목적으로 농지를 소유하도록 예외를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식으로 농자를 소유하도록 법이 허용하면 농지전용을 유발하고 비농업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법이 이를 조장하고 있는 셈이다. 농지법과 농지제도를 손봐야하는 시급성이 여기에 있다. 이를 통해 비농업인이 농지를 소유할 수 있는 불합리를 원천봉쇄해야 한다.

이를 통해 농지를 소유하고 있는 농업인이나 비농업인이 땅값 상승을 노려 호시탐탐 농지전용을 노리는 행위가 사라지도록 해야 한다.

특히 상속인과 이농인, 또 농지담보로 빚 대신 땅을 받는 경우 등의 유형이 자리 잡고 있는데 어떻게 보면 이런 상황은 불가피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렇지만 이 같은 경우를 통해 농지를 소유한 이들에게 영원히 소유권을 부여하는 것도 위헌이라는 주장이 나온다. 불가피한 농지소유자는 농지를 소유할 수 있는 기한을 설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소유기한을 설정하지 않으면 이들도 농지를 가지고 투기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전국의 농지 실태를 전수 조사하는 등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농지 소유자가 실제 소유농지를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를 따져봐야 한다. 그래야 농지법을 개정하던지 농지제도를 고치던지 어떤 대책을 추진할 수 있지 않겠는가.

농정 틀 개편을 기치로 출범한 대통령 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도 농지 실태조사의 필요성에 의지를 갖고 있기 때문에 농지법을 고치는 일은 정부와 농업인, 농업인단체 등과 협의를 통하는 것이 첫 단추를 꿔는 것일 게다.

경자유전의 원칙이 제대로 정착되도록 법을 고치는 일에 국회도 나서야 한다. 의원입법을 통해 농지 실태 파악을 위한 표본조사 시행부터 농지 정보 관리실태 점검까지 정부가 나서서 시행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줘야 한다. 전국의 농지를 필지별로 전수 조사해서 불법적 농지 소유를 막는 데는 법만큼 효력을 발휘하는 특효약이 없기 때문이다. 국회와 정부, 학계는 가짜농민을 가려내는 지름길이 무엇인지 생각해볼 일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