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혁신성과 확산 체계 개선해야
농업기술-혁신성과 확산 체계 개선해야
  • 이은용 기자
  • 승인 2020.07.21 17: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별 거점 중심 네트워크 방식으로 전환
공공에서 민간…맞춤형 경로 지원정책 필요

[농축유통신문 이은용 기자] 

그동안 정부는 농업의 경쟁력 강화 및 미래성장산업화를 위해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실용화·사업화를 강화해왔으나 그 성과가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연구개발 등을 국가 및 지자체 기관에 크게 의존하고, 보급도 기술개발자·공급자 중심의 선형모델로서 농업 현장의 수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변화하는 농업인의 농업기술 및 혁신성과 수요에 대응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현재의 선형적 확산체계를 지역별 거점 중심의 네트워크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박지연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연구위원은 ‘농업 혁신성장을 위한 농업기술 및 혁신성과 확산체계 개선방안(1/2차연도)’ 연구 수행 결과를 발표하면서 이 같이 밝혔다.

박지연 연구위원은 “정부가 농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 확대하고 실용화·사업화를 강화해왔으나 성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며 “이는 공급자 중심의 연구개발과 기술지도·보급체계의 한계로, 다양한 주체가 상호 협력해 혁신을 이끌어 내는 네트워크형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근거”라고 주장했다.

박 연구위원은 이를 위해 선형적 확산체계에서 네트워크형 확산체계로 전환, 민간중심의 혁신성과 확산체계로 전환, 수요자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경로 지원정책 등 제도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전했다.

그는 “농업기술 및 혁신성과 확산체계를 현재의 선형적 방식에서 지역별 거점을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면서 “여기에 농업기술센터는 기술의 지도·보급 등에 있어 연구·민간 기관 및 전문가와 네트워크를 구축해 농업인의 수요와 현장 문제를 관련 주체들에게 연결하는 조정자 역할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박 연구위원은 또 “귀농인을 비롯한 주변 농가에게 선도농의 기술력을 전파할 수 있는 정책의 강화와 고경력 퇴직 과학기술인들의 축적된 경험을 활용할 수 있는 정책 마련해야 한다”면서 “농협의 농업기술 및 혁신성과 확산 기능 강화, 농업인 특성별 농업기술 및 혁신성과 확산체계 구축, 인터넷 및 SNS를 통한 기술 정보 공급수요를 확대하기 위해 공공기관이 촉진자로서 역할을 하고, 전문가와 선도농가의 참여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농업기술 및 혁신성과 확산체계는 공공에서 민간 중심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