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학교 사라져…학교·지역사회 협력 방안 마련해야”
“농촌학교 사라져…학교·지역사회 협력 방안 마련해야”
  • 이은용 기자
  • 승인 2021.05.17 00: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촌학교 자원 복합화-지역사회 돌봄 확대 등 추진 필요
자치역량 가진 마을생태계 조성…특성 맞는 체계 만들어야
‘2021 제1차 KREI 생생현장토론회’

[농축유통신문 이은용 기자] 

정문수 부연구위원
정문수 부연구위원

최근 농촌은 과소화와 함께 학령기 어린이와 청소년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농촌의 학교들이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 위기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13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이 경남 남해군에서 ‘학교 살리기를 통한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주제로 개최한 ‘2021 제1차 KREI 생생현장토론회’에서 발제자와 토론자 모두 이구동성으로 이 같이 주장했다.

발제에 나선 정문수 KREI 부연구위원은 “농촌이 과소화 되면서 학령기 어린이들이 계속 감소하고 있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상급 학교 진학을 위한 농촌 이탈이 가속화되는 추세”라고 현 상황을 설명하며, “농촌 교육을 살리려면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농촌의 교육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협력해야 하며, 농촌 학교 또한 자체 보유한 자원을 지역사회에 개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학교와 지역사회가 협력할 수 있는 방안으로 농촌 학교 자원 복합화 및 지역사회 개방, 통학여건 개선 및 통학차량 지원·활용, 체험형 교육 및 농촌형 전인교육 확대, 농업 환경교육 추진, 유·초·중·고 연계 교육을 통한 지역사회 돌봄 확대, 향후 고교학점제 시행의 선제적 대응을 위한 학점교류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방안을 제시했다.

토론에 나선 권순형 한국교육개발원 박사도 “농촌 학교에 있어 교원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해 이들이 학교와 지역의 역할에 대해 공감하고 협력해야 농촌 학교 문제를 풀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하며, “농촌의 소규모 학교는 점점 늘어날 수밖에 없어 이러한 특성에 맞는 운영 체계가 마련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박영태 경남마을공동체지원센터 센터장은 토론에서 “지역사회를 변화시키는 중심은 마을 주민이며, 지속가능한 마을을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치역량을 가진 마을생태계가 조성될 필요가 있다”면서 “특히 학교뿐만 아니라 마을에 사람들을 불러들이고 성장하게 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개방성과 다양성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홍상 KREI 원장도 “농촌 학교가 지역사회와 협력해 농촌이 가진 자연환경 등 풍부한 자산을 활용하는 혁신사례가 늘고 있는 것은 긍정적”이라며 “학교가 다양한 지역주민 활동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꾸준히 논의를 이어나가고 다함께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