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인터뷰]김기연 국립종자원 식량종자과장
[미니인터뷰]김기연 국립종자원 식량종자과장
  • 이은용 기자
  • 승인 2021.10.25 00: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신기술 도입 자동화 통해 업무 효율-객관화 높여”
벼 도복 영상 자동 분석 프로그램 개발 업무 혁신 이뤄
측정 업무 등 효율화 위한 기술 개발 더욱 매진 계획

김기연 과장
김기연 과장

[농축유통신문 이은용 기자] 

“ICT 기술-드론 활용해 기존 업무의 혁신을 이뤘습니다.”

지난 21일 국립종자원은 전북 김제에서 최초로 ICT 기술과 드론을 활용해 만들어진 벼 도복 영상 자동 분석 프로그램(딥러닝 모델) 개발 현장시연회를 열었다.

ICT 기술과 드론을 활용해 만들어진 프로그램은 업무효율을 높이는데 가히 혁신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두각을 나타냈다.

기존에는 조사원들이 직접 현장을 찾아 벼 도복이 됐는지 육안으로 확인하는 작업을 했다. 하지만 육안으로 작업하기는 한계가 있어 업무효율성이 떨어졌다. 그렇기 때문에 현장에서 이번 프로그램 시연회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벼 도복 영상 자동 분석 프로그램 개발에 실질적 역할을 한 김기연 국립종자원 식량종자과장은 이번 개발로 업무효율성이 배가될 것으로 기대감을 나타냈다.

김 과장은 “전국의 벼 재배면적은 73만 ha나 되고, 종자원에서 관리하고 있는 채종단지만 하더라도 4,000ha가 넘을 만큼 그동안 현장에 나가 벼 도복 현상을 조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면서 “특히 경험이 많은 조사원과 신입 조사원 간의 정확도 차이는 클 수밖에 없다. 그래서 ICT 등 최신기술을 도입해 자동화를 통해 업무 효율 및 객관화를 높일 필요가 있었다”고 그동안의 상황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런 작업을 하기 위해 전문기관인 한국전자기술연구원과 협업은 필수적이었고, 많은 시행착오 끝에 업무의 혁신을 이룰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됐다”고 덧붙였다.

ICT 기술과 드론을 활용해 만들어진 벼 도복 영상 자동 분석 프로그램은 도복이 발생한 채종포의 현장 상황을 드론이 촬영해 영상데이터를 확보, 프로그램에 전달하면 자동적으로 판독이 가능하다.

김 과장은 “벼 도복을 쉽고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술이 생긴 것이다. 드론이 채종단지 현장을 촬영해 영상을 전달하면 자동적으로 프로그램이 벼 도복 상황을 판독해 결과물을 바로 제공해준다”면서 “계속해서 데이터를 확보해 업그레이드한 결과 지금의 판독 정확성은 93% 정도에 이르렀고, 앞으로 정확도를 더 높여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현장에서 드론이 촬영한 영상을 프로그램에 대입하니 도복 현상에 대해 자동 판독이 빠르게 진행됐고, 결과치가 수치와 사진으로 나와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김 과장은 키다리병을 분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곧 개발될 예정이고, 앞으로 더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매진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번 프로그램 개발로 데이터 기반의 정확하고 객관적인 결과 제공으로 농업인 등 수요자에게 신뢰도를 제고하게 됐고, 이 프로그램이 필요한 곳에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면서 “앞으로도 키다리병과 도열병 등 측정 업무 효율화를 위한 기술 개발에 더욱 매진할 것이며, 첨단기술을 지속적으로 도입해 업무 혁신을 이뤄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