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소멸 막을 대안은…‘기존과 다른 청년지원책’ 필요
지역소멸 막을 대안은…‘기존과 다른 청년지원책’ 필요
  • 이은용 기자
  • 승인 2021.10.28 14: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창업·창농 지원 한계…지역 혁신형 인재 발굴-육성 중요
지역사회 내 협력 네트워크 구축 청년이 주체가 되게 양성

[농축유통신문 이은용 기자] 

최근 농촌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지역소멸이라는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실제 전국 228개 시·군·구 중 40%에 가까운 89곳이 소멸 위기에 처해진 상황이다.

특히 대표적인 농도인 전라남도와 경상북도의 경우 각각 16곳의 지역이 소멸될 위기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소멸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이를 극복할 정책대안이나 방안을 찾기 위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지만 확실한 대안을 찾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26일 충남 서천군 한산면주민자치센터에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주최로 ‘지방소멸 위기를 기회로, 농촌에서의 새로운 도전’이라는 주제로 ‘KREI 생생 현장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는 서천군과 홍성군을 비롯한 다양한 지역 선도 사례를 살펴보고, 청년이 중심이 된 지역 공동체 활성화 등을 통해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우리 농촌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발표에 나선 김광선 KREI 연구위원은 “농촌문화와 창조계층(청년층)을 활용해 농촌 활성화를 이뤄야 한다. 단순히 청년층이 유입된다고 해서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이 지역에서 진정으로 융합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 사업 전략을 짜야 한다”면서 “특히 창조계층이 농촌지역에서 삶을 유지할 수 있게 지역 상황에 맞게 농촌의 지역발전플랫폼 모듈 사업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천에서 청년 활동가로 지역사회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김정혁 삶기술학교 대표는 발표에서 “삶기술학교는 사회혁신공동체로서 지역 혁신형 인재를 발굴 및 육성하고 있다”면서 “특히 중앙 및 지방정부, 전문가, 마을주민과 함께 지방 소멸을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김 대표는 “이곳에서 청년들이 전통기술과 생태자원을 매개로 네트워크 관계를 활용해 능동적으로 살아가는 대안적인 삶을 찾아나가며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나서고 있다”면서 “특히 지역사회에서 청년들이 정착하기 위해서는 기존과 다른 방식의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청년 눈으로 바라보는 농촌개발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서천에서도 청년의 눈으로 문화 콘텐츠와 연계한 각종 문화축제, 공연 등이 기획 운영되고 있으며, 농산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나서면서 청년들이 스스로 삶을 개척하고, 이를 통해 지역주민과 융합되고 농촌 활성화로 이어지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지방소멸 해결점을 찾는 세계적인 모델이 될 수 있도록 포기하지 않고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신소희 홍성 마을학회 일소공도 협동조합 연구원도 발표를 통해 농촌지역 사회가 주도하는 청년 정착 지원과 교육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농촌지역의 구조적 문제를 은폐한 채 청년 개인의 문제로 책임을 전가하는 창업·창농 지원이나 단순기능, 기술, 집합식 형식적 교육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며, “일상생활에 참여하고 스스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 지역과 청년이 서로 대상화하지 않은 관계 설정 등이 이뤄지도록 지원돼야 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지역사회 내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 지역사회 참여와 협력을 이끌어내고, 이를 기초한 농촌 지역에서 청년이 주체가 될 수 있게 양성하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김홍상 KREI 원장은 토론에서 “농촌 지역의 인구감소에 따른 지역소멸 위기를 기회로 전환시키기 위해 큰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농촌이 안정적인 삶을 추구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활성화될 수 있는 다양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