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부분 가격 안정보험 도입 필요
한우부분 가격 안정보험 도입 필요
  • 박현욱 기자
  • 승인 2013.12.06 09: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경수 교수, 수급균형을 위한 사육두수 유지방안 발표

한우농가의 경영 안전장치로 미국과 캐나다에서 시행중인 가축총수익보험, 소 가격보험프로그램 등을 검토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주목된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가 건국대학교 정경수 교수팀에 위탁한 ‘수급균형을 위한 사육두수 유지방안 연구’에서 정 교수는 한우 비육농가와 번식농가의 경영 안정을 위해 외국의 정책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미국의 경우, 가축총수익보험(LGM; Livestock Gross Margin) 제도로 육용우 경영에서 손실이 발생할 경우 총수익 감소분의 일부를 보험으로 보전해주고 있다. 또 미국에서 실시하는 가축위험보호(LRP; Livestock Risk Protection) 제도는 육성우, 비육우, 돼지, 양 3개 축종에 대해 해당 가축의 실제 판매가격이 보장가격 이하로 하락할 경우에 차액을 보험금으로 지급한다. 총보험료는 가입농가의 전체 사육두수에 대한 보장가격을 산출해 보험요율을 곱해서 산정하며 산정된 보험료에서 정부의 보조비율 13%를 제외한 나머지 보험료에 대해서는 농가가 부담하고 있다.

캐나다의 경우, 1991년 농가소득보호법의 제정을 통해 시행했던 순소득안정회계(NISA; Net Income Stabilization Account)를 계승한 농업투자계정(Agriinvest)을 2008년에 도입해 시행하고 있고 또 농업소득안정프로그램(AgriStability)을 실시해 농가의 소득감소가 클 경우 경영을 안정시켜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정 교수는 WTO 규정을 볼 때 한우농가의 경영 안정장치로 이들 제도들이 검토해 볼만 하며 번식농가의 경영안정을 위해 현재 실시중인 송아지안정제의 재개편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가격보험이 도입돼 많은 농가들이 가입할 경우 비육농가는 비교적 안정적인 소득을 확보할 수 있으며 비육농가 입장에서 생산요소인 송아지에 대한 수요도 일정하게 유지돼 송아지 가격 안정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정 교수는 “결국 한우 사육두수의 안정적인 유지를 위해 한우 비육과 번식농가의 경영이 안정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 송아지안정제 재개편, 비육부문에서 가격보험과 같은 신규제도를 비육부문에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