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도축산업 규모에 걸맞는 대형화 갖춰야”
“한국 도축산업 규모에 걸맞는 대형화 갖춰야”
  • 김재광 기자
  • 승인 2017.11.21 17: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김명규 축산물처리협회장은 창립 25주년을 맞이해 개최한 '한중미일 축산업 상생의 길' 세미나에 앞서 “생산자가 잘 돼야 도축업도 잘 된다는 생각을 가지면서 국민에게 지속적으로 안전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미래를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축산물처리협회 25주년 세미나 

한중미일 축산업 상생의 길

세계 도축산업의 현황을 진단하고 이를 통해 국내 도축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모색하는 자리가 서울에서 마련됐다. 한국축산물처리협회가 창립 25주년을 맞이해 준비한 ‘한중미일 축산업 상생의 길’ 세미나에서다. 이 자리에서 오클라호마주립대학교 정찬진 교수는 미국 대형 패커위주의 도축산업을 소개하며 국내 도축산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정 교수는 국내 도축산업 규모의 대형화와 함께 일부 대형 패커의 독과점을 견제하기 위한 장치의 필요성 등을 언급하며 국가 정책적 보완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대형패커 지배력 가속화

오클라호마주립대학교 정찬진 교수는 “미국은 현재 사료 곡물가격의 하락으로 축산물의 가격도 동반하락세를 보이면서 축산물 생산과 소비가 늘고 있다”고 전하면서 “기업합병을 통한 패커들이 대형화 되고 있고 대규모 도축장의 시장 점유율도 가파른 상승폭을 이어가 시장지배력이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도축장 규모별 도축비용을 환산한 자료에 따르면, 연간 도축능력 두수가 40만두인 돼지도축장에서는 41달러의 도축비가 발생하지만 100만두인 도축장에서는 35달러, 400만두 도축장에서는 26달러 수준으로 비용이 감소된다. 때문에 미국은 스미스필드, JBS, 타이슨푸드, 카길 등의 대형패커의 육가공 시장 지배력이 공고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대형 패커의 장·단점

규모가 거대해지고 대형화되면서 비용이 절감되고 값싼 육류를 공급하게 될 수 있다는 큰 장점과 함께 안정적인 공급물량을 확보해 균일한 품질의 축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소비자 또한, 고품질의 안전한 식품들을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다. 반면, 계열화를 통한 돼지고기 생산이 2000년 78%에서 2016년 98%로 상승한 것과 같이 판매시장에서 독과점으로 인한 시장 지배력을 바탕으로 농가는 계약농으로 전환돼 소농, 가족농 등의 퇴출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국내 도축산업 접목 방향

도축·가공시설과 유통망 등을 확보하고 농가 또는 생산자 조직과 연계해 고품질의 안전한 축산물을 소비자에 공급하는 일관 업무를 통틀어 ‘패커(Packer)’라한다.

국내 도축장들은 농가가 출하한 생축을 도축해 그 산물을 유통업체에 넘기고 수수료를 받아 영업하는 형태로 발전해 왔다. 농가들이 규모화 되고 출하물량이 많아지자 도축물량 대비 소화할 수 있는 환경에 놓인 도축장들은 퇴출되기 시작하고 도축장 구조조정법을 통해 경쟁력 제고 조치가 내려졌다. 패커는 이미 농가뿐만 아니라 도축산업에서도 가시화된 상황이다.

정찬진 교수는 “도축장구조조정법을 통해 미국의 대형 패커시스템의 장점을 흡수하면서 부정적인 부분을 최대한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정부와 생산자, 도축업계가 머리를 맞대고 소농과 가족농의 쇠퇴, 기업의 독과점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와 한국축산물처리협회 등이 포함된 축산물유통단체협의회(회장 김용철)는 축산법에서 규정하는 축산업에 도축·가공·유통분야를 삽입하고 농식품부에도 축산유통국이 있어야 한다는 주장을 이어왔다. 대형 패커의 견제를 위해 생산자에 편중된 축산법과 제도 정비에 소홀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는 업계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정 교수는 "한국 도축산업 규모의 대형화를 갖추면서 인프라를 구축하고 계약에 대한 정부의 감시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제도적 법률적 정비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