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예산 후려치기로 공익형직불제 도입 ‘위기’
기재부 예산 후려치기로 공익형직불제 도입 ‘위기’
  • 김영하 대기자
  • 승인 2019.03.07 17: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재부 예산 초안 1조8000억
농식품부 2조4000억원 요구
농민단체 3조~3조2000억원 필요

[농축유통신문 김영하 대기자]

문재인정부가 국정운영 100대 과제 가운데 하나로 추진 중이던 공익형 직불금 제도가 어려운 위기에 놓였다.

공익형 직불제는 농가 소득을 전반적으로 올리면서 친환경 농업을 진작하기 위해 도입하려는 제도다. 기존 직불제가 쌀에만 집중적으로 혜택을 준다는 비판에 올해 개정을 목표로 했지만 예산이라는 암초를 만났다.

당초 주무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연말 대통령 업무 보고를 통해 2020년부터 공익형 직불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기본 틀은 기존 쌀 직불금과 밭 직불금 등으로 분산돼 있는 직불금을 하나로 통합해 기초직불제로 지원하고 하후상박의 형태로 전환하는 것은 물론 공익적 기능을 수행하는 농민에게 환경, 지역자원보호 등의 명분으로 지급토록 방향을 잡고 있다.

기획재정부 등 정부는 예산을 최소화하려 하는데 이해 당사자인 농민단체들은 예산이 적다면 차라리 기존 제도를 유지하자며 대치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공약사항이면서 국정과제인 공익형직불제 도입이 자칫하면 무산될 수 있어 농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쌀 직불금 예산의 대면적이나 벼생산자 농가에게 집중되는 것을 바로잡는 문제 역시 쉽지 않다. 지난해 직불금 예산(28273800만원) 가운데 90.7%(18889억원)는 논농사를 짓는 이들에게 돌아갔으며 이중에도 대면적 농가에게 몰린 직불금의 문제도 해소가 어렵다.

이 때문에 농식품부는 앞으로는 작물과 상관없이 면적 대비로 주겠다는 직불제의 구상을 밝힌 바 있다. 그러면서 소규모 농가에 혜택을 더 주기로 방향을 잡았다. 예를 들어 일정 규모당 직불금 지급 기준액을 대농과 소농을 구분해 책정하겠다는 것이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2017년 기준 1미만의 쌀 농가는 전체 농가의 72%를 차지하지만 가져간 직불금은 전체 금액의 29%에 불과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예산이다. 기획재정부의 축소예산편성이 문제다. 지난 5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18000억원 규모로 공익형 직불제 예산 초안을 잡았다고 한다. 기재부의 입장은 제도 설계만 잘해도 충분한 규모라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

허나 농식품부는 24000억원을 요구하고 있다. 예산을 충분히 잡아 직불제를 바꾸지 않으면 쌀 과잉 공급이 지속되고 그에 따른 재고 처리 비용이 더 든다는 설명이다. 최근 이개호 농식품부 장관은 농어업정책포럼에서 특강을 통해 1조규모의 예산 증액이 전제되지 않으면 공익형 직불제의 시작이 어려울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농민들이나 주변에서 아랫돌 괘서 웃돌 메운다는 비판을 들을 수 있다고까지 피력했다.

농민단체들은 한발 더 나가 최소 3~32000억원 이상은 돼야 공익형 직불제 도입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농민단체에서는 예산 배정이 힘들다면 차라리 기존 제도를 유지하자는 주장도 나온다.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내년 시행이란 목표는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높다.

농민출신 김현권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소한 월 10만원씩은 공익형 직불금을 지급해 다수의 소농을 위한 안전망을 만들어야 한다그러기 위해선 3조원 이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