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농업·농촌의 뉴 웨이브, 르네상스는 올까?
[사설]농업·농촌의 뉴 웨이브, 르네상스는 올까?
  • 김영하 기자
  • 승인 2019.11.15 12: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축유통신문 김영하 기자] 

농업·농촌의 길 2019 조직위원회(위원장 이정환 GS&J 인스티튜트 이사장)는 지난 12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농업·농촌의 길 2019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농업·농촌의 뉴 웨이브 르네상스는 올까?’를 주제로 선정해 미래농업·농촌의 청사진을 그려보려는 의도로 준비된 것 같다. 조직위는 이런 테마를 이끌기 위해 농업·농촌을 바꾸는 변화의 동력으로 네 가지를 추려 소주제로 발표했는데 그것은 농업인력, 농산물, 농촌마을, 농업기술 등이다.

우선 미래농업을 꾸려갈 농업 후계자에 대한 문제는 가장 중요한 한 축이다. 발표자는 농림어업 취업자가 2017년 중반이후 꾸준히 늘고 있고 있다는 점을 부각한다. 이는 한국이 저성장 시대에 접어들면서 농업에서 기회를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것 등이 원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 기회를 살리려면 젊은 인력이 스스로 귀농을 결정하고 정착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밝힌다.

또 하나의 주제로 우리 농산물의 새로운 조류에 대해 탐색하고 있다. 현재 국내 농산물이 잘 팔리지 않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는 농산물의 시대적 가치와 소비자들의 삶의 방식이 변화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품질개선과 신뢰회복과 즐거움을 원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새로운 르네상스를 맞으려면 생산성과 양의 농업이 아닌 가치와 질을 중심으로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마케팅 활동을 체계화하고 이를 공동브랜드나 품목 조직화를 통해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시한다. 또 남아도는 원물을 소재화와 푸드테크(Foodtech)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안도 요구하고 있다.

또 마을 만들기를 통한 농촌부흥을 진단해 봤다. 농촌관광, 마을만들기, 도농교류 등의 사업이 농촌에서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문제가 많다고 진단한다. 사업지침 상 주민이 원하는 대로 사업을 추진하기 어렵고 사업지침이 너무 자주 바뀌는 한편, 정부기관 및 사업주체 간 소통의 어려움, 중간지원조직의 부재 등을 문제로 지적한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려면 일단 중앙정부 정책을 전달만 하는 행정시스템을 개선하고 농촌 현장, 특히 읍면 주민 생활권 단위에서의 수요를 반영한 정책이 추진돼야 한다고 진단한다. 전국에 있는 농촌 마을 만들기 영역의 중간지원조직 약 41개소에 대한 전문성, 지속성 강화 방안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농업기술의 혁신도 네 번째 테마로 발표됐다. 한국의 농업은 그간 빠른 시간 내에 압축적으로 성장한 가운데 농업분야의 과도한 정부 의존, 쌀 중심 공급구조, 과투입 농업으로 인한 환경훼손 등의 난제가 발생해왔다. 따라서 농업기술의 지도보급과 실용화 기능을 민간으로 전환하는 것을 가속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했다.

이번 농업·농촌의 길 2019에서 제기한 농업인력, 우리농산물, 마을만들기, 농업기술 등 4가지 테마는 아직도 너무 많은 과제와 난제를 안고 있다. 말로만 르네상스가 아닌 실질적 농업의 전환을 위해서는 공익형직불제 이후에 발생할 것으로 생각되는 농업의 과제를 실질적으로 발굴해야 할 것이다.

아직도 기획재정부는 농산물 물가를 잡는데 혈안이 돼있는 문제라든가, 시장기능에서 농민들이 아직 유통비용을 부담하는 문제라든가, 농촌에서 아직 최저임금을 받지 못하는 농민의 문제라든가 다양한 주제를 찾아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