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살처분농가 재입식 불허에 속 타는 農心
[사설]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살처분농가 재입식 불허에 속 타는 農心
  • 농축유통신문
  • 승인 2020.06.05 14: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축유통신문] 

구제역 보다 더 심각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2018년 8월 3일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서 발생해 한돈업계 및 방역당국의 초긴장 상태에서 대한한돈협회는 성명을 내고 국가차원의 종합대책을 촉구한 바 있었다. 이후 많은 시간이 지났다. 하지만 해결된 것은 없었다.

소위 축산방역의 전문가부터 학계의 학자, 정부 방역당국의 공무원 등이 모여 간담회, 각종 회의 등을 진행했으며, 일부는 도출된 결과를 가지고 발생농가 지역에서 실행도 해봤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근본대책도 안 되는 몇 가지 실행 안으로 해결책이 없는 상태다.

수백 건이 넘는 감염 야생멧돼지 발생 지역에 대해 정부의 대응은 울타리 설치와 사체수색이 전부다 보니 다른 지역으로 전파돼 상황이 더욱 악화됐다.

더구나, 열병 발생으로 각종 규제가 강화되면서 양돈농가의 반발도 거세졌다.

정부 및 중앙사고수습본부 등의 제1의 목표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조기 차단 및 종식이다. 더 이상 방치할 경우 전국적인 확대발병 및 토착화 가능성이 우려된다. 조기 종식이 불가능한 만큼 장기적으로 실제화 가능성 담긴 ASF차단 대책을 세워야 한다.

단순히 해당 발생지역의 차량 진입 통제 또는 전국 가축방역 담당자 ASF 진단 및 간담회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전 세계적으로 전염성과 치사율이 높은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조기 종식시킨 국가가 없으며, 이에 대한 백신도 없는 상태이다.

정부는 528일 세종청사에서 사육 돼지 살처분 농가의 재입식 불허와 농장단위 차단방역 강화 등 여름철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강화 대책을 발표했고, 지난해 103일 최초 발생 후 약 900킬로미터에 달하는 울타리설치, 포획틀과 트랩 총 1763개를 설치해 약 9000마리의 멧돼지를 제거했다. 또한 민·군 합동으로 대대적인 멧돼지 폐사체 수색 및 제거를 해 경기, 강원 북부에서 남하하는 바이러스를 차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위험도에 따라 발생지점 반경 10km 내 농장은 주1, 경기·강원 북부 395곳 농장은 월1, 그 외 전국 농장은 7월 말까지 추가 점검할 계획이며, 봄철 점검결과 미흡한 농장은 관리농장으로 지정해 신속히 개선하도록 특별 관리토록 할 방침이라 전했다.

현재 대한한돈협회는 합당한 보상과 재입식을 요구하며 1인 시위와 천막농성을 528일부터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 그동안 농가들은 ASF의 조기 종식을 위해 정부 또는 방역당국의 지도해 적극적인 호응해왔다. 정부의 보여주기식 캠페인, 관심 정도가 아닌 그들 자신의 삶을 위해 그 피해를 인내하면서도 행정지도 및 차단방역에 힘쓰고 있다. 얼마 전 국회위원 회관에서 ‘ASF 피해보상 현실화를 위한 간담회를 갖고, ASF 피해지역 농가에 대한 조속한 재입식 등 주요 한돈산업 현안과 최근 접경지역 한돈농가 출입차량 통제와 가전법 시행령, 시행규칙 개정 논란 등에 대한 한돈농가의 입장을 설명하고 국회 차원의 대책을 마련해줄 것을 요청한 바 있다.

ASF는 농가의 규제 및 단속만으로는 조기 종식이 되지 않고 국가가 나서야 하는 전염병인 만큼 책임을 지고 조기종식에 앞장서야 하며, 그 피해의 장기화가 이뤄지고 있는 만큼 관련 산업 및 농가 들을 위한 피해보상 마련에 적극 나서 코로나19로 이중고에 빠져 있는 농가들에게 회생의 기회를 주어야 할 것 이다.

이에 정부는 즉각적으로 응답하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