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의 아생멧돼지 대책, 더 이상 통하지 않을 것“
“환경부의 아생멧돼지 대책, 더 이상 통하지 않을 것“
  • 엄지은 기자
  • 승인 2020.10.16 08: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육돼지 확진 유력 매개체로 야생멧돼지 지목

한돈협, 특단의 야생멧돼지 근절대책 추진 촉구

 

[농축유통신문 엄지은 기자] 

지난 9일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하며 그 원인으로 야생멧돼지가 유력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에 ASF 감염 야생멧돼지를 제대로 막지 못한 환경부에 적극적인 특단의 관리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 10월 이후 잠잠하던 ASF1년 만에 사육돼지에서 재발생했다. 지난 9일 강원 화천군 상서면의 한 양돈장에서 ASF가 처음으로 재발생했고, 이어 지난 11일엔 최초 확진 양돈장에서 2.1떨어진 양돈장에서 추가로 ASF가 발생했다.

해당농장은 외부울타리 등 방역시설이 설치돼있는 등 그간 ASF 방역 점검에서 방역 수칙에 위반되는 사항이 없었기에 사육돼지의 ASF 감염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양돈농가들과 수의전문가들 사이에서는 ASF 감염의 원인이 야생멧돼지가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있다.

지난 9ASF가 발병한 화천군은 ASF가 발생한 9개의 시·군 중 가장 많은 야생멧돼지 감염개체가 발견된 곳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야생멧돼지의 ASF 확진사례는 지난 기준 화천군이 290건으로 전체 760건의 확진 사례의 40%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첫 발생 양돈장은 250떨어진 곳에서 ASF 감염 개체가 발견되기도 한 만큼 농장 보다는 야생멧돼지를 통한 ASF 감염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에 양돈농가와 전문가 사이에서는 환경부의 소극적이고 부실한 야생멧돼지 관리를 지적하며 적극적인 야생멧돼지 소탕작전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조우형 대한한돈협회 춘천·화천지부장은 이번 확진농장은 2~3일 주기로 돈사지붕 위까지 소독할 정도로 방역에 힘썼다. 아무리 모범 농장이라고 한들 농장 반경 250m에서 멧돼지 폐사체에서 ASF 바이러스가 검출되는 상황에서 ASF 바이러스 유입을 막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라며 농장주들이 아무리 방역에 노력을 해도 화천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한계가 있다. 따라서 유력한 감염 매개체인 멧돼지 개체수를 줄이는 작업이 필요한데 정작 야생멧돼지 관리를 담당하는 환경부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어 농장주들의 속만 썩고있다라고 호소했다.

한편, 대한한돈협회는 성명서를 통해 “ASF발생이 마치 한돈 농가의 방역소홀로 전가돼 발생농장의 돼지는 전두수 살처분되고인근 10km 이내는 집돼지 제로화를 위해 희망수매 되거나이동제한 등 철저한 불이익을 받고 있다고 호소하며, “반면에 ASF 주범인 야생 멧돼지에 대해서는 환경보전 등을 이유로대대적인 감축정책은 없고오로지 집돼지 감축 위주로 정책이 수립되고 있다. 환경부는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 특단의 야생멧돼지 근절대책을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