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철학자의 일갈처럼 농촌에 모든 해법이 있다
[사설] 철학자의 일갈처럼 농촌에 모든 해법이 있다
  • 박현욱 기자
  • 승인 2021.02.25 16: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며칠 전 도올 김용옥 전 한신대 석좌교수가 한 라디오방송에 출현해 서울시장 후보를 비롯한 정치인들이 농촌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최근 가장 뜨거운 이슈인 대한민국 부동산 문제는 농촌에 해법이 있다고도 했다.

정치 평론과 철학자로 유명세를 떨치고 있는 교수의 입에서 도시 문제를 농촌과 연결한다는 생각이 자못 신선하다. 더욱이 서울시장 선거 공약에 서울시 인구를 줄이는 정책도 나와야 한다고 말해 궁금증을 더한다.

김 전 교수는 도시의 문제 그중 부동산 문제 해결은 농촌에서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고 말했는데 핵심은 농촌 커뮤니티를 살리고 이를 위해 농민 가구 당 직접 50만 원의 수당을 줘야 한다고 했다. 여기에 더해 농촌 생활에서 큰 불편을 느끼지 않을 정도의 기본적 인프라, 즉 의료 교육 문화시설을 갖출 수 있도록 정부에서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전 교수의 발언은 지금까지 농업계에서 주장한 얘기와 일맥상통한다. 한국에서 존경받는 대표적인 철학자가 농촌 문제에 관심을 갖는다는 것은 대단히 환영할 만한 일이다.

그의 말처럼 대한민국은 두 가지 세상이 공존하는 기형적 구조 속에 살고 있다. 도시는 꾹꾹 눌러 담은 인구 과밀로 신음하고 농촌은 가뭄에 콩 나듯 사람이 없다. 수도권 인구가 어림잡아 2,500만 명 정도니 우리나라 국민 중 절반은 서울 인근에 거주하고 있는 셈이다.

앞으로의 전망은 농촌을 더욱 어둡게 한다. 농촌의 고령화는 지역 소멸을 불러오는 시한폭탄처럼 작용하고 청년들은 농촌에서 좀처럼 매력을 느끼지 못한다. 지금까지 정부의 농촌 살리기 정책의 과실은 일부 부농이나 도시로 회귀하고 있다는 증거가 농촌의 굶주림으로 입증되고 있다.

농민 인구는 어림잡아 200만 명이 넘는다. 표로 따지면 전체 투표 인구의 3% 남짓이다. 일부 농촌에 기반을 둔 정치인을 제외하고 대다수의 정치인들이 농촌에 무관심한 이유는 여기에 있다. 정치인들은 국민 먹거리의 중요성, 농업의 공익적 역할에는 공감대를 같이 하면서 정작 농촌 소멸, 농민 소득에는 큰 관심이 없다.

현재 도시에서 표출되고 있는 모든 문제의 해법은 농촌 도처에 널려있다. 도시에 기반을 둔 정치인들도 농촌 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다. 지금처럼 저 성장 시대 농민의 기본 소득을 보장하고 불편함이 없는 기본적인 인프라를 제공하면 농촌으로 향하는 젊은이는 아마도 넘칠 것이다.

오는 4월 보궐선거에 농업 관련 공약의 실종은 아쉬운 부분이다. 정치인들도 이제 농업에 주목해야 한다. 오히려 도시에 기반을 둔 정치인들이 농촌과 상생하는 새로운 해법을 제시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지자체 장들이 혁신적인 도·농 정책을 편다면 도시와 농촌의 상생의 시대는 먼 길이 아니다.

지난해 9월 서울시는 2024년 도시농부 100만 시대를 열겠다고 했다. 농업의 치유와 힐링, 환경, 교육, 문화에 주목한 결과다. 세종시도 '비전 2025 도시농업 육성 5개년 계획'을 통해 농업을 주목하기 시작했다. 

흔히들 도시는 꽃, 농촌은 뿌리에 비유되곤 한다. 모든 먹거리, 생명 창고인 농촌이 살아야 도시가 건강하게 꽃피울 수 있다는 얘기다. 단순한 숫자 놀음으로 농촌을 재단하고 농민을 소외시킨다면 이 나라의 미래는 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