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농촌 창업 지원 정책 내실화 기해야”
“정부 농촌 창업 지원 정책 내실화 기해야”
  • 이은용 기자
  • 승인 2021.04.29 15: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창업가 발굴·창업 전 예비 단계 지원 필요
민간 주체 ‘농촌 창업 생태계 편입’ 중요

[농축유통신문 이은용 기자]

자료사진
자료사진

농촌지역의 창업 증가율이 도시보다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창업가 발굴 및 예비 창업지원 강화에 나설 필요가 있으며, 정부의 농촌 창업 지원 정책의 내실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정도채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연구위원은 최근 발표한 ‘농촌의 창업 활동 특성과 성장 요인 연구’를 통해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도시와 비교했을 때 농촌의 창업이 활발하게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기업데이터의 창업 경영체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8년 도시 창업 업체 수는 2010년 대비 2.0% 감소한데 반해 농촌에서는 21.1% 증가했다. 고용 인원도 농촌에서는 25.7% 증가한 반면, 도시에서는 5.4% 증가에 그쳤다.

정 연구위원은 연구 결과 농촌에서 다양한 산업 부문의 창업이 증가하고 창업 경영체의 성장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가 계속해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농촌에서 창업한 경영체들의 성장 과정을 분석한 결과 저렴한 지대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농촌 창업 경영체의 생존율이 도시보다는 높았지만, 산업 부문의 특성과 농촌 지역의 불리한 여건 등이 경영체의 성장에 불리하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정 연구위원은 “농촌 창업 경영체의 생존과 성장에는 무엇보다 창업주의 경험과 역량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관련 지식이나 경력이 없는 청년들의 창업은 많은 어려움이 있어 예비 창업자들에 대한 체계적 교육이 필요하고, 관련 분야의 경험을 갖추고 농촌산업의 이해도가 높은 예비 창업자들을 대상으로 창업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 연구위원은 특히 농촌 창업 지원 정책 추진 시 창업가나 경영체의 역량 및 시장성을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지원과 창업의 양적 확대를 우선시 하는 정책 추진 방향이 창업 실패의 증가 요인으로 지적했다.

그는 “농촌 창업 정책 지원 효과를 높이기 위해 창업의 양적인 증가에 정책의 초점을 두기보다는 성공 확률이 높은 창업을 지원하는 등 창업 정책의 내실화를 기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며, “농촌 창업 정책의 개선 방향으로는 무엇보다 역량을 갖춘 창업가 발굴과 창업 전 예비 단계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창업주의 역량 및 배경이 창업 경영체의 생존과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가 정신과 역량을 보유한 예비 창업가를 발굴하고, 예비 창업 단계에서 교육과 지원을 강화한다면 농촌 창업 경영체의 성장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정 연구위원은 아울러 농촌에서 창업을 희망하는 예비 창업가들을 대상으로 농촌 이주 등과 연계한 전문적인 창업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다양한 인력의 농촌 유입과 창업 지원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공공 주체 중심의 창업 정책에서 탈피해 농촌 창업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지원할 수 있는 엑셀러레이터, 벤처캐피탈 등의 민간 주체들을 농촌 창업 생태계에 편입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며 “더불어 창업 경영체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 지역 외부 자원과 연계 지원 및 지역단위 추진체계 정비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