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식 살처분 정책 그만…백신정책 병행해야
18세기식 살처분 정책 그만…백신정책 병행해야
  • 이은용 기자
  • 승인 2021.07.12 16: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부 지역 등 선정 백신접종 시범사업 추진 필요
전문가 “올 여름 안에 확실히 대응책 만들어야”
정부-소비자 “시기상조…신중히 판단해야” 반대

[농축유통신문 이은용 기자]

“정부는 더 이상 고병원성 AI 방역정책으로 살처분만 고집하지 말고 산란계나 일부 발생위험 지역을 선정해 백신접종 정책을 병행 추진해야 한다”

지난 9일 서울 여의도 산림비전센터 국제회의장에서 대한양계협회와 더불어민주당 농어민위원회가 공동 주최해 열린 ‘고병원성 AI 백신접종 정책 도입을 위한 토론회’에 참석한 현장의 농가와 전문가들이 이 같이 촉구했다.

이홍재 양계협회장은 토론회 인사말에서 “현재 유럽에서 고병원성 AI가 계속해서 검출되고 있다. 경험상 올해도 바이러스가 검출될 확률이 높은 상황이지만 정부 정책은 규제 일변도의 정책만 고집하고 있다”면서 “모든 책임을 농가에만 책임을 전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계속해서 이런 규제정책만 펼친다면 가금농가들은 더 이상 가금을 키울 수 없는 지경에 빠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정부가 추진했던 무차별적인 살처분 정책은 과학적으로 문제가 있음이 밝혀진 만큼 대안으로 백신정책을 전면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실질적으로 전면 시행이 어렵다면 시범적으로 특정 지역을 설정해 시도하고 모니터링 해 효과를 검증해보자”고 요구했다.

안두영 양계협회 채란위원회 위원장도 토론에서 “고병원성 AI로 인해 살처분에 따른 막대한 비용이 발생되고 있으며, 서해안 지역의 농가들은 매번 AI로 인해 살처분 조치로 인한 피해가 발생해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다”면서 “정부는 피해가 큰 살처분 정책 말고 일부 지역에서라도 시범적으로 백신접종 정책을 시행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무엇보다 “AI백신접종이 업계의 공론이고 철새에 의한 AI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예방적 살처분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AI 방역정책”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인 허주형 대한수의사회장도 한국처럼 방역을 잘 하더라도 매년 철새에 의한 바이러스 유입이 기정사실화된 상황에서는 (백신을 통한)예방을 할 수 있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고 선진적일 것이며, 행정적 재정적 낭비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허 회장은 “올 겨울에도 바이러스 유입 확률이 매우 클 것으로 예측된다. 예방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방법은 백신이 유일하다”고 전제하며, “다만, 어떻게 정책을 구현하고 준비할 것인지 10월이 되기 전까지 올 여름에 확실히 대응책을 만들고 현장 전문가들과 소통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특히 “백신정책은 살처분과 병행해 피해를 최소화해 바이러스 확산을 막는 효과적인 방법이며, 이미 우리나라에는 항원뱅크가 마련돼 있고 2020∼2021년 H5N8 항원 형과 100% 일치한다”고 전하며, “백신을 활용하는 방식은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처음에는 일부지역 혹은 일부 농장에만 적용하고 예찰을 통해 효과를 확인해 대응을 평가하는 시범사업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는 또 “백신정책 실시 후 수의사에 의 한 주기적 사후관리를 통해 바이러스의 상재화를 막고, 청정국 선언을 당길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이런 과정을 통해 18세기식의 살처분 방식에서 벗어나 백신을 병행하는 다양한 방식의 방역대응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발제에 나선 이근행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장도 “(백신은)예방의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하므로 적극적으로 도입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면서 “특히 지역별, 축종별, 농장별 시범사업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현장의 농가와 전문가들은 일방적인 살처분 정책 이외에 백신접종 정책을 병행 추진해 피해를 최소화하자는 주장을 하고 있지만 주무 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와 소비자 단체에서는 인체감염, 유전자 변이, 수출의 걸림돌 등을 이유로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날 토론에 나선 김연화 소비자공익네트워크 회장은 “중국에서는 1995년 백신 도입 후 AI변이가 늘어났다는 결과가 나오고 있다”고 지적하며, “백신접종으로 오히려 인수공통감염병인 AI의 변이만 불러와 인체감염 가능성이 높아지는 결과를 초래해 국민들에게 불안감을 조성할 수 있다”고 반대 의견을 개진했다.

그러면서 “고병원성 AI 백신접종 도입에 대한 요구가 커져가지만 어떤 것이 더 안전한지에 대한 정확하고 신중한 판단이 나와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