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월 만의 ASF 재발에 한숨만…“8대방역시설도 설치했는데”
3개월 만의 ASF 재발에 한숨만…“8대방역시설도 설치했는데”
  • 엄지은 기자
  • 승인 2021.08.13 09: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8대 방역시설 설치 농장 중 첫 발생 사례방역정책 불신도

인근 농가들 발생 원인도 몰라실효성 있는 대책 필요해

[농축유통신문 엄지은 기자] 

그동안의 방역 강화조치에도 불구하고 양돈장서 ASF가 재발하자 양돈현장 사이 허탈함과 함께 방역정책 전환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커져가고 있다.

특히 해당 양돈장이 중점방역관리지구에 포함, 이미 8대 방역시설을 갖추고 있었다는 점에서 8대 방역시설 무용론과 함께 야생멧돼지 방역대책 부실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정부가 ASF 양성 멧돼지의 증가 및 확산에 따라 바이러스의 농장 내 유입 차단을 위해 '8대 방역시설'의 조속한 설치를 전국의 양돈농장을 대상으로 연일 강하게 종용하고 있었던 만큼 8대 방역시설이 곧 ASF 유입 차단이라는 공식이 깨졌다는 것.

강원도의 한 양돈농가는 "수천에서 수억 원의 비용을 들여 8대 방역시설을 설치해도 ASF 관련해 달라진 것이 없다""정부가 요구하는 대로 시설을 설치했음에도 불구하고 농장에서 ASF가 터지면 농가들은 어찌할 방도가 없다"며 비판했다.

이에 이번 감염사태로 8대 방역시설 무용론부터 방역대책의 손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자자하다.

특히 고성지역 농가들은 멧돼지 이동차단과 감염 우려를 이유로 명파리-장신리 구간 도로변 광역울타리의 설치와 일주일에 한 번 동물위생검사소의 농장 방문 채혈을 도축장 채혈로 변경해 줄 것을 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개선이 없었다며 방역정책의 허술함을 꼬집기도 했다.

한 농가는 이에 대해 현재처럼 진부령-북천 하구에 광역울타리를 설치한 것은 북천 이북에 대한 멧돼지 이동차단을 포기한 것이라며 고성 농가들이 군에 요청했던 대로 울타리가 설치됐더라면 이번 감염은 없었을 것이라며 울분을 토했다.

또 다른 지역의 농가는 농장 차단방역 수준 강화와 함께 야생멧돼지 개체수를 줄이려는 노력도 시급하다. 현재 농가에 책임을 부여하고 시설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 방역정책이 한계에 봉착한 것이라고 토로했다.

강원 홍천의 한 양돈농가는 엽사들 사이 이미 홍천은 야생멧돼지 사이 ASF가 다 퍼졌다는 소리도 나오고 있다정부에 끊임없이 요청했던 방역정책의 개선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아직 발생농가의 정확한 감염경로가 나오지 않은 만큼 농장 내 방역을 철저히 지켜 스스로의 농장을 보호하자는 목소리도 커져가고 있다.

사실상 야생멧돼지의 근절 없이는 ASF 감염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판단이다. 지난 10일 대한한돈협회 강원도협의회의 비공개 회의에서도 야생멧돼지에 의해 오염된 환경에 노출된 농장 관계자의 전파 위험에 대해 항시 조심해야 한다고 거듭 언급되기도 했다.

한편, 생산자단체인 대한한돈협회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면서도 ASF 의심축 신고가 들어온 7일부터 비상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한돈협회 관계자는 추가 발생 의심사례는 나오지 않고 있으나 역학조사를 통한 정확한 감염경로가 알져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신중히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