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맞춤형 지원 정책 강화 필요”
“귀농·귀촌 맞춤형 지원 정책 강화 필요”
  • 이은용 기자
  • 승인 2021.10.05 17: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다양한 체험·교육 프로그램 확대 추진해야
지자체 전략적 유인 시책-플랫폼 구축 필수

귀농귀촌 상담을 받는 모습.
귀농귀촌 상담을 받는 모습.

[농축유통신문 이은용 기자] 

최근 코로나19, 대도시 주택 재고 부족·가격 급등 등의 요인으로 전원 지향 및 도시 탈출 수요가 늘면서 지난해 귀농·귀촌 가구가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베이비부머와 청년층의 귀농·귀촌에 대한 관심 증가로, 귀농·귀촌 인구가 다시 증가 추세를 보임에 따라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소멸 등 부정적 인식을 탈피하기 위한 시책 발굴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실제 지난해 귀농·귀촌 인구는 49만 4,569명으로 전년 대비 큰 폭(각각 9.3%, 8.7%)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이런 증가 원인은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전반적으로 귀농·귀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이들에 대한 맞춤형 지원 정책 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송미령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발표한 ‘KREI 농정포커스-2020년 귀농·귀촌 동향과 시사점’을 통해 이 같은 주장을 펼쳤다.

송 선임연구위원은 “농촌을 삶과 일의 공간으로 삼고자 하는 상당한 수요가 있으므로 귀농·귀촌 인구의 특성을 감안한 지원 정책을 펼친다면 지방소멸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면서 “특히 청년 영농정착을 위한 지원사업처럼 타깃을 분명히 하는 지원사업의 지속과 더불어 농업 일자리 및 농촌에서의 생활을 미리 체험해 볼 수 있는 형태의 프로그램을 확대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귀농·귀촌 장벽을 낮추기 위해 살아보기 체험 주택 확대, 빈집 등과 연계하거나 신축을 통한 임대형 주택 등의 제공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송 선임연구위원은 더불어 농촌다운 공간을 유지하고 귀농·귀촌 목적지로서 매력을 증진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그는 “최근 농촌으로의 인구 유입은 대체로 수도권, 광역시나 지역 거점도시, 혁신도시 등 접근성이 양호하고 생활 기반이 상대적으로 잘 갖춰진 지역을 중심으로 보다 활발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면서 “영농을 목적으로 한 귀농 가구의 경우도 전통적인 농업지역에서 절대적 이동량이 많지만 최근에는 근교지역에서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어 도시적인 라이프스타일을 함께 추구하면서 농업활동을 수행하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귀촌에서는 개인적인 건강, 가족 등의 이유보다 직업과 교육 등의 이유로 귀촌 이주 사유 비율이 증가한 것은 농촌이 삶과 일의 새로운 공간으로서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이런 점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특히 귀농·귀촌 인구 증가를 위해서는 삶과 일의 공간으로서 농촌지역의 여건을 편리하게 정비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송 선임연구위원은 또한 농촌 지자체의 전략적인 유인 시책 마련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교육복지 시책을 통해 학령인구 증가 성과가 나타난 화천군, 청년층 주거 및 창업 지원을 추진한 완주군, 의성군 등에서는 불리한 도시 접근성을 극복하고 귀농·귀촌 유입이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소개하며, “비록 대도시권에 속하지 않는 일반 농촌 및 원격 농촌 시·군들이라도 인적 자원 유치를 위해 지역 단위에서 전략적인 시책을 수립·추진할 경우 성과를 얻을 수 있다”고 제언했다.

송 선임연구위원은 무엇보다 귀농·귀촌 플랫폼 구축 및 정책 홍보 강화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귀농·귀촌에 대한 의향을 지니고 있더라도 구체적인 정보 접근성은 그다지 높지 않기 때문에 귀농·귀촌 플랫폼을 온·오프라인으로 구축해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며, “이 플랫폼은 귀농·귀촌에 필요한 정보 제공과 함께 귀농·귀촌인이 지역에 정착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생활과 활동의 거점으로서 작동될 수 있도록 지역이 운영을 주도할 수 있게 기획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특히 “정부에서 추진 중인 귀농·귀촌 관련 정책사업에 대한 전반적 인지도가 그다지 높지 않아 20대 중 32%는 알고 있는 정책사업이 전혀 없다고 응답하고 있어 정책 홍보 역시 타깃 맞춤형으로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