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디지털 혁신에 대비가 필요하다
[사설] 디지털 혁신에 대비가 필요하다
  • 박현욱 기자
  • 승인 2021.11.25 22: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통령 선거일이 다가오면서 각 후보의 공약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재명·윤석열 후보의 양강 구도로 펼쳐지는 이번 대선에서 치열한 접전이 예상되는 만큼 각 후보가 어떤 공약을 내놓는가에 따라 당락의 성패를 결정지을 핵심 변수가 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포문은 이재명 후보가 열었다. 이 후보는 최근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겠다며 135조 원의 대거 예산 투입을 예고했다. 여당 후보가 가장 처음 내건 공약이 디지털 전환이라는 의미는 곱씹어 볼 필요가 있다.

우리 주변 환경은 코로나 이후 디지털 전환 속도가 무척이나 빨라졌다. 올해 9월 온라인 쇼핑 거래액만 봐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나 훌쩍 뛰어올랐다. 모바일 쇼핑은 23%나 가파르게 상승했다.

농축산업계도 예외는 아니다. 농업 관련 디지털 스타트 기업들이 크게 늘었고, 기존 디지털 벤처 기업들은 큰 폭의 성장세를 멈출지 모른다.

온라인의 무덤이라고 불렸던 축산업계도 온라인 열풍이다. 도축과 육가공이라는 특수 유통과정을 거치는 축산 유통은 포장 기술의 섬세함과 가공 기술의 정교함이 장착되면서 디지털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민간 기업들은 각종 첨단 기기를 활용하면서 디지털 혁신 대열에 승차를 준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이 구매하는 축산물의 사진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거나 육류를 이미지화해 검수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수량을 파악하는 일들이 벌써부터 상용화를 준비 중이다.

디지털 혁신, 그중 농축산물 유통 분야의 혁신은 반드시 필요하다. 많은 농민들의 호주머니와 직결된 분야가 유통분야라서 그렇다.

디지털 혁신을 발목 잡는 법도 있다. 축산 유통 분야의 규제다. 가령 무인 육류 자판기가 설치된다고 가정하면 자판기를 설치한 사업자는 해당 시군 외에는 자판기를 설치하기 무척 까다롭다. 시군에 따라 사업자를 또다시 내야 해서다. 디지털 혁신과 함께 낡은 규제도 덩달아 사라져야 하는 이유다.

생산 현장도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생산지도 구조적 클러스터화를 이루고 첨단 장비를 구축해 생산량을 예측하고 데이터화할 필요가 있다. 수급조절의 디지털화는 정밀농업의 구현, 미래 농업으로 가기 위해 반드시 거쳐 가야 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여당 후보가 디지털 전환을 공약으로 내건 만큼 타 후보도 이보다 강도 높은 디지털 전환을 선언하는 공약을 내놓을 것으로 전망된다.

앞으로 어떤 정부가 들어서더라도 디지털 전환 기조는 더하면 더했지 덜하진 않다. 농업의 발전 속도가 가장 더디다고 알려져 있으나 농촌 고령화 인력난 등으로 역설적이게도 가장 필요한 분야가 농업이 돼 버렸다.

전 세계가 디지털 전환에 승차한 만큼 낡은 관행과 규제는 혁파하고 새로운 시대, 디지털 혁신을 여는 일에 농업계도 동참해야 하며 이에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