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돈농가, 35만 대군 멧돼지 어떻게 막나
한돈농가, 35만 대군 멧돼지 어떻게 막나
  • 정여진 기자
  • 승인 2019.10.18 09: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 농가 목소리 무시하고 이제와 멧돼지 소탕작전 전개


[농축유통신문 정여진 기자] 

멧돼지의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 검출로 비상이 걸린 가운데 멧돼지 개체수가 약 35만 마리로 알려진 멧돼지 개체 수 조절에 관계당국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17일 현재까지 국내에서 ASF에 감염된 멧돼지는 총 9마리로 비무장지대와 민통선 내에서 발견된 멧돼지 사체에서만 ASF가 발견됐지만 멧돼지가 집단을 이뤄 살고 활동반경이 넓어지는 겨울철이 되면 문제는 심각해질 수 있다. 이에 정부는 최근 군인을 비롯한 엽사들을 총동원해 멧돼지 숫자를 줄이고 있지만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또 이번 질병이 사람이나 동물 등에 의한 수평전파가 가장 유력하게 의심되는 상황에서 멧돼지뿐만 아니라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는 쥐, 새 등도 매개가 될 가능성이 높아 위험성이 극도로 높아지고 있다.

강원대학교 수의대학장 박선일 교수는 산에 버려진 야생동물의 사체와 내장을 독수리와 까마귀가 뜯어 먹는데 특히 까마귀는 동물성에 가까운 잡식성이기 때문에 북한에서 ASF로 죽은 멧돼지를 뜯어 먹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ASF 감염경로를 축산차량과 야생멧돼지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방역에 허점이 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의 컨트롤 타워 부실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정부가 지난 9월 총리실을 중심으로 ASF 컨트롤 타워를 만들고 대응해 나갔지만 환경부는 질병의 전문가들이 함께 한 농업계의 의견은 묵살, 야생멧돼지는 ASF 감염을 목도하게 된 것이다.

이에 대한한돈협회(회장 하태식)는 지난 8일 성명서를 통해 야생멧돼지 저감 대책을 제시하라고 촉구하며 환경부에 책임을 물었다. 또 축산관련단체협의회(회장 김홍길)는 지난 17일 국회 정문 앞에서 ‘ASF 시군단위 일괄 살처분 반대 및 야생멧돼지 특단 조치 촉구 기자회견에서 야생멧돼지가 가장 유력한 발생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